종형명문경 외




종형명문경(種形銘文鏡) 고려시대 8.5*10.2*13.3cm '박가분자료관' 소장




-특수한 형태의 동경-
이번에 소개하는 동경은 종 모양으로 생겼다고 하여 보통 종형경이라 일컬어지는 것이다.
남은 수량이 매우 적어 희소성면에서 그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을 듯 하며, 명문이 나타내는 바 뜻도 화장용구로서의 의미를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 같다.
기왕에 국립박물관에도 몇 점 다른 종류의 종형경이 보이는데, '박가분소장품'은 두 줄의 전서체로 비감사경 이장이용(匪鑒斯鏡 以粧爾容)이라고 내려 썼는데 '거울에 비춰서 살피고 그 용모를 단장한다.는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만자문범어경(卍字文梵語鏡) 고려시대 3.8~5.2cm '박가분자료관' 소장


이런 종형경 말고도 그 형태가 일반적인 범주에서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있는 만자문범어경이 있다. 손잡이를 제외한 크기가 3.8CM~5.2CM 정도 되며 경배면 중앙에 만(卍)자를 양각하고 그 둘레에는 범어(梵語) 옴마니반메훔을 도안화 하여 문양처럼 돌려 놓았다. 그 크기나 무게나 외형만을 놓고 본다면 손잡이형 자루가 달렸기에 병경이라고 칭할 수 있겠으나, 화장용구로서의 기능 보다는 일종의 휴대용 같은 것이다. 특히 불교 관련 문양이 주로 시문되어 불교가 번성했던 고려시대에 호신불처럼 몸에 지닌 채 애용되었으리라는 짐작을 하게 한다.
범어 산스크리스트 옴(제천). 마(아수라). 니(인간). 반(축생). 메(아구). 훔(지옥)의 대명왕진언은 연화보살에 귀의하여 극락왕생하고자 하는 사상이 깃들어 있는 것 같다. 두 개의 만자문경-(護身을 도모하며 벽사적 의미가 있는) 사이에 있는 동경은 그 경배면이 상당히 오목한 것으로 보아 분접시의 용도로 쓰였을 수도 있겠다는 짐작을 하게 하는 유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