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의 원천은 미래에 있고, 미래로부터 해방된 자는 아무것도 겁날 게 없는 까닭이다. (8)

퐁트벵은 길게 뜸을 들인다. 그는 뜸의 거장이다. 그는 오직 소심한 사람만이 뜸 들이는 걸 겁내며, 뭐라 대답해야 할지 모르면서 성급 히 엉뚱한 문구들을 내뱉어 조소를 자초하고 만다는 것을 안다. 퐁트벵은 매우 장엄하게 침묵할 줄 알며 은하수조차도 그의 침묵에 감명받아 초조히 대답을 기다릴 정도다. (32)

"당신 엄마가 곧잘 당신에게 하던 말 생각나? 내겐 그 목소리가 어제처럼 생생하게 들려. 밀란쿠, 제발 농담 좀 그만둬. 아무도 널 이해해 주지 않을 거야. 넌 세상 사람 모두를 모독할 거고 끝내는 세상 사람 모두가 널 혐오하고 말 거야. 당신도 생각나?" (102)

비루한 하인들처럼 그들은 부과된 대로 인간 조건을 향유한다. 존재의 행복한 춤꾼들. 그런 반면 그, 비록 어떤 출구로 없음을 그도 알지만, 그는 그런 세상에 자신이 반대함을 부르짖는다. 그러자 그가 그 고상한녀석의 얼굴에 던져야 했을 대꾸가 머리에 떠오른다. "카메라들 아래 사는 것이 우리 조건이 되었다면 나는 그 조건에 반항하겠어. 난 그것을 선택하지 않았어!" 바로 이것이 대답이다! (113)

모든 몸짓에는 그들의 실제 기능을 넘어서, 그것들을 행하는 사람의 의도를 초월하는 어떤 의미가 있다. 수영복을 입은 사람이 물에 뛰어들 때는, 그 잠수자가 슬픔에 잠겼다 할지라도, 그 몸짓에서 드러나는 것은 기쁨 그 자체다. 누가 옷을 입은 채 물에 뛰어든다면 이는 얘기가 전혀 다르다. 익사하려는 자만이 옷을 모두 입은 채 물에 뛰어든다. 그리고 익사하려는 자는 머리부터 먼저 들어가지 않는다. 그는 자신을 떨어뜨린다. 몸짓들의 그 태고적 언어가 그렇게 하길 원하는 것이다. (141)

고인의 밤을 회상하면서 나는 실존 수학 교본 첫 번째 장들 가운데 하나에 드는 이 유명한 방정식을 상기했다. 속도는 망각의 강도에 정비례한다는 것. 이 방정식에서 우리는 여러 필연적 귀결들을 연역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런 것, 우리 시대는 속도의 악마에 탐닉하며 그래서 너무 쉽게 자신을 망각한다. 한데 나는 이 주장을 뒤집어 오히려 이렇게 말하고 싶다. 우리 시대는 망각의 욕망에 사로잡혔으며 이 욕망을 충족 하기 위해 속도의 악마에 탐닉하는 것이라고. 그가 발걸음을 빨리하는 까닭은 사람들이 자신을 기억해 주길 이제 더는 바라지 않음을, 자신에게 지쳤고, 자신을 역겨워하며, 스스로 기억의 그 간들거리는 작은 불꽃을 훅 불어꺼버리고 싶음을 우리에게 깨닫게 해주고 싶어서라고. (1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버트 니스베트, 사회학과 예술의 만남: 사회 변동의 풍경화와 초상화, 이종수 옮김, 한벗, 1981.

[도덕 교육론]에서 뒤르껭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존재하지도 않는 목적지를 향해 전진하는 것만큼 인간에게 더 환멸을 느끼게 하는 것이 있을까? 왜냐하면, 그것은 전진한 거리만큼 똑같이 후퇴하는 셈이 되므로." (p.153-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랑을 포기한 것은 그날 거대한 신도시의 건물 사이를 돌다가, 막차를 놓칠까 반쯤 뛰다가, 명목상 심어둔 것처럼 드문드문 떨어져 서 있던 가로등 아래에서 흩날리는 가짜 눈을 맞았기 때문이다. 그때 코트 자락을 너무 세게 털어서, 무언가 같이 떨어져나갔기 때문이다. (p.70-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들의 대화는 이러했다. 그것은 세태의 어둠을 밝혀줄 언어의 영원한 승리이자, 말하지 않음으로써 그 이상의 것을 말하고 있는 금과옥조와도 같은 침묵이었다. 늘 경계를 늦추지 않으며 온갖 정보에 귀를 기울이는 만큼, 우리는 결코 이 시대에 기만당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전 세계가 우리의 말에 담겨 있으며, 온 세상이 우리의 침묵으로 밝혀진다. 우리는 현명하다. 아니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현명함을 열렬히 사랑한다.
그런데 대화를 마치고 나서도 어렴풋이 남아 있는 이 우울함은 무슨 까닭일까? 손님들이 가고 집은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건만 한밤중까지 이어지는 이 침묵은? 단지 설거지 걱정 때문일까? 게다가…… 저녁 모임을 마치고 수십 킬로를 벗어나 집으로 돌아가고 있는 우리의 친구들에게도 똑같은 침묵이 이어진다. 조금 전까지만 해도 흠뻑 취해 있던 그 현명함의 열기는 다 어디로 사라졌는지. 신호등 앞에 멈춰 서 있는 차 속의 부부는 아무런 말이 없다. 그 침묵은 마치 긴밤의 취기가 서서히 가시는 떨떠름한 뒷맛처럼, 혹은 마취가 풀려날 때의 감각처럼, 의식이 깨어나면서 조금씩 제 자신으로 돌아오는 바로 그 느낌 같다. 말하자면 그것은 우리가 한 대화 속에 진정한 우리는 없었음을 어렴풋이 느끼는 고통스런 자각인 것이다. 우리는 거기 없었다. 거기엔 우리를 제외한 모든 것이 다 있었으며, 논지 또한 확고했으나─게다가 그 논지의 관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주장한 바가 전적으로 옳았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거기 없었다. 의심할 나위 없이 현명함이라는 자기 최면을 부단히 연마하느라 또 하루 저녁을 탕진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제 집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며 우리는 서서히 우리 자신에게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36-37)

아! 그러고 보니 늘 화젯거리가 궁하기 마련인 별 볼일 없는 사람들 간의 별 볼일 없는 모임에서는 으레 독서가 대화를 이어주는 주제의 지위로 격상되곤 한다. 아니, 독서가 의사소통의 전략으로 전락했다고 해야 할지도! 책 속의 그 숱한 소리 없는 아우성과 고지식한 무상성이란 결국, 어느 덜 떨어진 위인에게 내숭형 숙녀를 낚을 빌미가 되어줄 뿐이다. "혹시 셀린의 [밤의 끝으로의 여행]을 읽어보지 않으셨는지요?"
설령 이보다 심하지는 않을지라도 절망적이기는 매한가지일 것이다. (1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퇴계 이황은 벼슬길에서 빠져나와 은거하며 서재의 벽에 "번거로움에서 벗어나는 데는 고요함만한 것이 없고, 졸렬함을 벗어나는 데는 부지런함만한 것이 없다"는 구절을 써붙이고 끊임없이 독서에 매진했다.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