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생존˝
요즘 이 단어의 뜻이 바뀌었다.
수첩공주라 불리던 대통령이 취임하고나서 국무회의에서는 서로 얼굴을 보고 토론하는 장면은 사라지고 모두들 고개 숙이고 뭔가를 적고 있다.
대통령이 말씀하시는데 받아적지 않고 쳐다보고 있다가는 ˝지금 적지 않고 뭐하는 거죠?˝ 하는 눈초리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살아남으려면 뭐라도 적어야 한다. 적는 자! 살아남으리니!
물론 이 책은 그런 메모를 하라는 책은 아니다^^
다만 메모습관이라 하니 적자생존이라는 말부터 떠올라서 처음부터 헛소리를 조금 해봤다.
나도 메모 좀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 읽고나니 어디가서 명함도 못내밀겠다. 나는 죽었다 깨어나도 그렇게 꼼꼼하게 정리하거나 철저하게 자료조사같은거 하지 못한다. 역시 그런 일은 뭔가 뚜렷한 목표가 있어야 가능한데 (저자는 이런 메모들을 바탕으로 블로그에 글을 올린다) 나는 애당초 절박함이 없는 사람이다보니 늘 뭔가 하긴 하는데 결정적이지 못해.... ㅠㅠ
책을 읽고나서는 물론이거니와 세미나를 하고나서도, 팟캐스트를 듣고도, 페이스북을 보다가도, 웹서핑을 하다가도 늘 메모를 하는 저자는 사실 메모 습관의 힘이란 것은 결국 글을 잘 쓰기 위한 것이란 말을 하고 싶은 듯 하다. 요즘같은 소통의 시대에 인터넷에 꾸준히 좋은 글을 올리다보면 분명 인생이 바뀌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니 메모는 메모로 존재할때가 아니라 다른 무엇으로 거듭날 때 의미있는 것이다.(아... 메모하고 나서 한번도 거들떠 보지 않은 내 노트들 어쩔...)
책을 읽다보면 저자가 블로그 글 한편을 쓰기 위해 들이는 노력이 굉장하다.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그러니 좋은 글이 나오는 건 당연하지. 아무 준비도 없이, 얼개따위도 없이, 고치는 과정도 없이... 좋게 말해 `일필휘지`로 써대는 내 글은..... ㅠㅠ
읽는 분들께 미안할 지경이다. (그동안 제가 쓴 건 글이 아닙니다. 그냥 메모에요 ....)
그래도 공개된 곳에 글을 써봐야 글쓰기가 는다는 말은 백프로 공감한다. 나도 예전에 책을 읽고 나면 노트에 한줄이라도 감상을 남겨야겠다고 생각했지만 그게 혼자 보는 거다보니 귀찮으면 생략하기 일쑤였다. 전혀 늘지 않을 뿐 아니라 작심삼일!
이곳 알라딘에 글을 올리면서부터는 그래도 남들이 본다는 생각에 글에 책임감도 생기고 책을 읽고나면 좋든 싫든 꼬박꼬박 올리게 된다. 이런게 <청중효과>라는데 나도 그 효과를 톡톡히 보는 셈이다. 그리고 글을 많이 써보는 게 분명 좋은 경험인 것은 확실하다.
그러니 국무회의실에서 눈치보며 메모만 하시는 분들...
메모는 활용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대요.
그 메모를 자기 성찰의 도구로 사용할 줄 알아야 삶이 바뀌는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 강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