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는 잘해요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만보면 한국사람만큼 사과에 인색한 사람들이 없는 것 같다. 어지간 해서는 사과를 하지 않고, 어쩌다 사과랍시고 하는 걸 가만히 들어보면 사과가 아니라 변명 일색이다. 또는 적반하장격의 사과도 있다. 미안해, 미안하다고! 됐냐? 됐어? 이런식 말이다. 

사과라는 건, 나의 행위에 대해서 하는 게 아니다. 나의 행위에 대해서 하는 말은 사과가 아닌 변명일 뿐이다. 사과란 나의 행위의 결과로 상대방이 입은 마음의 상처에 대해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진정한 사과가 있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마음의 상처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보통은 이 과정이 없다. 그러니까 이런 말이 나오는 거다. "고작 그런 일에" 라는 식의.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는 맞아 죽는다. 돌을 던진 사람은 돌팔매에 대해 변명을 하는 게 아니라 살생에 대해 사과를 해야 한다. 죽어버린 개구리에게 남겨진 가족들의 기막힌 슬픔에 대한 공감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니까, "난 그냥 돌맹이 하나를 던졌을 뿐이예요, 고작 그런 잘못에 제가 살생의 책임을 져야 한다니요?" 라고 묻는 것이다.  

하나의 사건이 일어나면, 책임을 져야 하는 쪽의 진실된 사과가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그 일은 종결되지 않는다. 일제의 진심의 사과가 있지 않았기에 한일 근현대사 문제는 아직도 종결되지 않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옛날일을 왜 꺼내냐 하기 전에, 진심의 공감을 바탕에 둔 사과를 해서 이 문제를 종결지으면 간단한 문젠데 말이다.  

사과를 받지 못하니까 사람들은 원한을 품는다. 참 어려운 문제다. 사실 나도 몇개 원한을 품고 있는 사건들이 있는데, ㅎㅎ 앞 뒤 전후의 사정을 들어보면 정말 별 것 아닌 일이고 참으로 오래 전의 일인 것도 있고, 뭐 그렇다. 아마 내가 원한을 품고 있는 그 사람들은 내가 원한을 품고 있는줄도 모를거다. 하지만 나에게는, 사과 받지 못한 원한으로 그것이 생생한 현재형으로 남아있다. 언젠가 그 사람들을 보면 내가 당한만큼 그대로 갚아주리라 이 빠득빠득 갈며 벼르고 있는 사건도 두어개 있다. 나... 순하고 단순한 사람이다. 그냥 사과 한번 제대로 했으면 끝날 일이었는데. 그 사과에 인색했던 덕분에 그 사람들 밤길 조심하게 생겼다. 때로 이런 분노나 원한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크게 자라 내가 파괴되더라도 저들을 응징하고 말리라, 하는 수준에까지 이른다. 내가 죽더라도 널 죽이고야 말겠다는 거지.  

뭐, 하기는. 나에게 이런 원한을 품고 있는 사람이 없다는 장담은 나도 못하겠다,,,, 마는. 

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잘못을 저지르지 않고 사는 사람이 어디 있겠나. 잘못을 저지르면 사과라도 제대로 하고 살자. 변명과 사과 정도는 구분해 주면서.  

 

PS. 쓰고 보니 책 내용과는 전혀 상관없는 리뷰...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