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 연꽃의 길
황석영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이라는 게 원래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해서 고전으로 자리매김을 하는 것이라지만 <심청전>의 해석에 대해서는 특히 분분하다. 사실 해석이라기 보다는 작중인물의 행동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심청이 공양미 삼백석에 몸을 파는 것이 효도인가 아닌가에 관한 이야기는 이제 식상할 정도.  

이 소설 심청은 우리 고전 <심청전>에서 효도라는 부분을 과감하게 도려내고 시작한다. 여하한 이유로든 집을 떠난 여자가 연꽃속에서 되살아나 왕비가 되고, 노인 잔치(맹인잔치)를 열고 잘먹고 잘 산다는 모티프만을 따 와서 진행되는 이야기는, 꽤나 재미있게 읽힌다.  

황석영에 관한 이야기 좀 해 보자. 황석영은 나에게 좀 불편한 작가다. 김훈의 마초이즘을 좋아하는 것과는 달리 황석영의 소설에서 드러나는 남성성은 반감을 일으킨다. 음식에 관한 사소한 수다를 써내려 간 <황석영의 맛있는 세상>에서조차 그는 몇몇 여인들과의 무책임한 과거 연애담(그것도 육체적)을 털어놓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솔직함일수도 있겠고 무배려일수도 있겠다. 황석영의 소설에서 여자는, 물상화 된 것처럼 느껴진다. 나는 그것이 불편하다. 이를테면, 이 사람은 여자라는 존재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를 하려고 하지 않는구나, 라는 느낌이랄까.  

이 소설 심청도, 황석영의 소설로서는 드물게 (이 소설 이후에 바로 또다른 여주인공을 내세워 쓴 바리데기가 나오긴 하지만) 여성 화자를 앞으로 내세워 한 여인의 일대기를 구성해가고 있지만, 남성작가의 소설이라는 느낌이 너무 역력하다. 이 상황에서 이런 행동을 하게 될까, 라는 느낌이 아니라, 남자의 환상속에서 여자란 이렇게 행동할 것을 바라는 구나, 라고 읽힌달까. 성과 매춘에 관해 담담하다 못해 쿨한 태도까지는 그렇다쳐도, 순식간에 성녀로 변신해 고아들을 구조한다거나, 악기 연주외엔 아무런 교양을 쌓지 못한 최하층의 유녀가 갑자기 왕족의 아내가 되어서도 그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해 낸다거나 하는 점은, 그 격차가 너무 커서 이건 그야말로 남자들의 환상속의 그녀구나 라는 생각밖에. 왜 그런말 있지 않은가. 남자들은 침대밖에서는 정숙한 숙녀를 침대 안에서는 요부를 바란다는 웃기지도 않는 삼류 주간지의 대사 말이다.  

인간이란, 얼마나 강해질 수 있고, 또 얼마나 약해질 수 있는 존재인지 그 한계를 측량하기란 힘들겠지만, 이 소설 속의 심청이란 존재는 너무 강하다. 꺾어도 꺾어도 꺾이지 않고, 밟아도 밟아도 밟히지 않는다. 강해도 너무 강하다. 인간을 저 바닥으로 밀어붙여 놓고도, 하긴 연꽃이라는 게 원래 더러운 진흙탕에서 피어나는 것이니 심청의 캐릭터와 물고 들어갈수도 있겠으나, 이건 마치. 인간을 인간으로 인정하지 않고, 자신이 보고픈 면만을 보니까, 음, 무배려로 읽힌다.

고등학교때, 우리 학교는 산 중턱에 있었고, 그 아랫동네 선창가에 오래된 사창가가 남아있었다. 지나가면서 한두번 그 홍등을 본 적이 있기는 하지만, 실제 그 안으로 들어가 본 일은 없었다. 그런데, 선생님 중 몇몇이(그 중엔 노처녀 문학선생도 끼어있었다) 그 안을 무슨 일인지 들어갔다 나왔다는 이야기를 노처녀 여선생이 해 주면서, 그 중에 있었던 국어 선생이 "얘들이 천사지." 그랬단다. 반어로서의 천사가 아니라, 정말로 천사라고, 눈시울까지 붉히며 이야기 했다는데, 그때도 그렇지만 지금도 시쳇말로 "뭥미?" 싶다. 남자들의 유녀에 대한 이상화와 환상은 변기와 천사를 오간다. 도대체 이런 환상은 왜 생기는 거지? 

하여간에. 이 소설을 읽다가 문득 그 옛날의 기억이 살아났다. 황석영과 그 선생은 닮은 꼴이다. 뭐랄까, 유녀를 천사라고 이상화 시키는 건, 그녀들에 대하는 존중이 아니라, 훨씬 가혹한 비하로 느껴진다고 해야하나. 좀 과장되이 말하면 여성 전체에 대한 비하로 느껴지기도 하고. 

뭐, 이런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재미있게 읽힌다. 일본어, 중국어가 독음 그대로 제시되고 때때로 한자를 병기하긴 하지만 그래도 특별한 설명이 없어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스토리는 흥미진진하고 짧은 분량안에 15살부터 80세까지 한 인간의 인생을 때려넣다보니 이야기도 스피디하게 진행된다.  

재미있긴 했지만. 뭔가 아쉬움이 많이 남았던 소설. 황석영의 전작들에 비하면 글쎄. 

솔직히 말하자면, 왜 이런 소설을 쓰셨습니까? 라고 묻고 싶다.  

파울로 코엘료의 <11분>이후로 창녀문학이 유행을 탄다더니 그 유행에 편승하신 건 아니실테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anca 2010-01-09 1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저도 이상스레 황석영 소설은 바리데기 이후로 그렇게 호감이 안가더라구요. 아시마님이 그 느낌을 집어주셨군요. 왜 이런에 ㅋㅋㅋ 완전 따라쟁이로 '살아있는 날의 시작' 읽으면서 막 분노하고 있습니다. 막 투사하면서. 박완서 샘은 사람들 마음 속에 들어갔다 나오신 분 같아요. 너무 적나라해서 움찔움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