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벌이의 지겨움 - 김훈 世設, 두 번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김훈의 글은 쉽게 읽히지 않는다. 그는 언젠가 문학잡지와 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문장에 대해 “전압이 높은 문장” 이라는 표현을 쓴 적이 있는데, 확실히 그가 마음먹고 문장과 문장 사이에 전압을 준 글은 쉬이 읽히지 않는다.
그래서 그의 글을 읽는 것은 조바심과 약간의 짜증이 나는 일이다.
어느 순간 몰입해서 읽었는가 생각하면, 어느새 눈은 글자를 읽는데 머리는 딴 생각을 하게 된다. 이쯤 되면 짜증을 내며 책을 던져버릴 법도 한데, 김훈의 글은 쉽게 팽개치는 것조차 허용하지 않는다. 하여 내 책장에는 김훈의 책이 여섯 권 꽂혀 있는데, 나는 그 중 두 권을 아직도 읽지 않은 채 꽂아 두고 있다. 그의 책을 읽는 것은 꽤나 만만치 않은 일이다.

내가 김훈이라는 한 작가를 인지하게 된 것은 당연히 2001년 독서계를 휩쓸고 간 소설 『칼의 노래』덕분이지만, 궁극적으로 그를 사랑하게 된 것은 “김훈 世說” 이라는 소제를 달고 나오는 그의 짤막한 에세이들 때문이다. 나는 그의 위악에 가까울 정도로 솔직한 에세이를 좋아한다.

한국 사회에서 스스로가 보수주의자임을 인정하고, 페미니즘에서 파생되는 여성의 능력에 대한 예찬을 부정하고, 한여름 여성의 노출패션을 찬양하는 것은 거의 자살행위에 가까운 일이다. 그러므로 한국 사회에서는 누구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위치에 올라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그 경직된 사회에서 그는 “오버한다” 싶을 정도의 솔직함으로 글을 쓴다. 위악적이라 해도 좋을 만큼 거침없는 그의 문장들은 그러나 아름답다.
그 아름다운 문장으로 써내는 위악적인 문장들, 그래서 나는 종종 그를 역설가라 말한다.
하기야, 역설은 그가 가장 많이 구사하는 수사법이기는 하다.

올해, 김훈의 두 번째 世說은 “순정한 처사(處士) 김훈이 몸으로 써낸 사람살이의 풍경”이라는 부제를 달고 나왔다. 제목은 그의 수사법 그대로 “밥벌이의 지겨움” 이란다. 자신의 직업에 대해 ‘밥벌이’라는 명쾌한 이름을 붙일 줄 알고, 그것이 지겹노라고 말할 수 있는 그의 솔직함이 짧은 에세이에 묻어 나온다.
단지, 버려 주었으면 좋았을 뻔한 글이 너무 많다.
여기저기 잡지와 신문에 기고한 글들을 모아서 묶어낸, 그래서 세설(世說)이라는 이름을 붙인 에세이집인 것 같은데, 해서 동어반복의 글들이 많다. 결과적으로는 김훈, 이라는 네임 벨류에 대한 훼손이 될 텐데…… 걱정스럽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