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 김훈 世設, 첫 번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김훈의 글은 상쾌하다. 읽고 있으면 가려운 곳을 골라서 살살 긁어주는 듯한 쾌감이 인다. 신문기자로서의 오랜 동안의 삶이 그의 글을 깔끔하고 단정하게 가꾸어 주었고 오랫동안의 사유는 그의 글을 가치 있게 만든다. 그의 글은 거침없다. 자신의 삶에 충실했던 사람다운 자신감이 그의 글을 거침없이 만든다. 그는 세상을 향한 일갈을 내뱉기를 주저하지 않는데, 그 일갈들이 매번 통쾌하다. 예를들면, 이런 식이다.

「…… 이쪽이냐 저쪽이냐를 묻는다면 나는 우습고 꼴같지 않아서 대답하지 못한다. 웃을 수밖에 없는 것이 나의 지성이다. 제발 이러지들 말라. …… '자유'와 '정의'를 앞장세운 이 절망적인 개수작들은 당장 집어치워라.」

그는 언론자유와 조세정의를 가지고 싸움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은 '개수작'이라고 일갈한다. 나의 생각도 그러하다. 하하, 그건 개수작일 뿐이다.

그는 '언어'와 '언론'으로 평생을 벌어먹고 산 사람이다. 그가 '존엄하다'라고 말하는 밥과 돈을 그는 평생 '언어'와 '언론'을 통하여 벌어들였다. 때문에 그의 산문에는 여기저기 언어와 언론에 대한 통찰이 드러난다. 그에게 있어 언어는 '언론'을 통해 다듬어 지고, '언론'은 언어를 통해 가치를 획득한다. 그는 사실 (팩트 fact)만을 통한 신문기사 쓰기를 꿈꾸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불가능함을 말하고 있다. 객관적 사실 전달이란 처음부터 모순적이다. 그 사실을 보는 자의 주관이 처음부터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러한 냉철한 이성으로 주변을 살핀다.

그러나 그의 시선은 차갑지 않다. 다만 냉정하게 사실을 파헤치고 있을 뿐, 그것이 그의 인간 됨이 차갑다고 볼 수 있는 증거가 될 수는 없다. 오히려 그는 다른 누구보다 따뜻한 시선으로 주변을 본다.

그는 버려진 마을에 동정을 가지고 있고, 밥을 굶는 어린 아이들을 걱정하며, 고통을 전담할 수밖에 없는 이 나라의 선량한 백성들에게 동정의 눈길을 보낸다. 그가 삼엄한 시선을 보내는 것은 그들에게 고통을 전담시키는 무능하고 후안무치한 정부에게 일뿐.

이렇게도 냉철한 이성의 소유자가 이렇게 서정적인 문장을 써낸다는 것은 아무래도 역설 같다. 그의 문장 전체가 역설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은 그의 삶 자체가 역설이기 때문인지도. 그는 적극적 보수주의자이면서 한편으로 몹시 페미닌한 감성을 가지고 있다. 적극적 보수는 아름답다. 어째서 이 사회에서는 보수를 악으로만 보는가. 보수는 어차피 이 사회를 지탱하는 가장 근본적이고도 지속적인 힘이다. 진보는 사회를 개혁하지만 보수는 그 사회를 지탱해 나간다. 그런데도 이 나라에서는 자신이 보수임을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해야만 한다. 보수는 곧 악의 상징과 동일하게 취급되기 때문이다. 그런 사회에서 김훈은 당당하게 말한다. 나는 보수주의자이고, 나는 여성의 능력은 신뢰하지 않고, 나는 뚱뚱한 여자를 여자로서 싫어한다, 고.

그의 당당함은 스스로의 삶에 충실한 것으로 보상을 받는다. 그는 "여성의 능력은 신뢰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대신 아들에게 "사내의 한 생애가 무엇인고 하니, 일언이폐지해서, 돈을 벌어오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능력을 불신하는 여성에게는 일을 시키지 않으려는 그의 언행일치. 그것으로 그의 보수는 정당하다.

우리도 이제, 냉정한 이성을 아름다운 문체로 표현할 수 있는 작가 한 사람쯤, 가질 때가 되었지 않은가. 그런 의미에서 나는 김훈을, 진심으로 사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