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이 영화를 봤냐하면,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 때문이다. 어린 시절 속삭이는 말도 멀리서 듣는 소머즈, 필요하면 갑자기 멀리있는 걸 보고 축지법을 쓰는 것처럼 달리는 육백만불의 사나이, 그리고 평소에는 평범한 직장인이다 위기가 닥치면 빙글빙글 회전해서 옷을 갈아입고 위기에서 사람들을 구출해주는 원더 우먼까지... 냉전 시대에 외화시리즈들은 선과 악의 이분법 세계에서 절대 선을 행하는 원탑 영웅의 이야기를 다루었고, 어렸던 나는 초능력이라는 매력에 빠져들었다. 신처럼 초능력을 가진, 어찌보면 가부장적 지배 논리를 훈육하기 위한 시리즈들이었다. 커서 생각하니. 그래서 원탑 영웅 이야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초능력은 더더욱...

2. 그럼에도 <원더 우먼>은 냉큼 보러 갔는데 음...내가 알고 있는 원더 우먼이 아니었다.-.- 아마존에서 흙으로 빚어서 생명을 불어넣어 태어난 줄 아는 신과 인간의 피조물로 헤라클레스 여자 버전쯤? 원더 우먼이 아주 매력이 없는 건 아니지만 단점이 더 눈에 들어온다. 먼저 좋게 말하면 세속의 때가 안 묻었고 나쁘게 말하면 물정 모르다. 인간 세계를 선과 악의 이분법으로 나누고 자신의 믿음을 조금도 의심하지 않는 확고한 신념을 가졌다. 절대 선은 절대 악과 비슷한 점이 있다. 방독면을 뚫는 독가스를 만드는 박사 역시 절대 악에 대한 혹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추진력이다. '절대'라는 건 인간계에서는 위험한 일이다. 전쟁의 신 아레스를 없애겠다는 의지로 원더 우먼은 또 다른 인간(영화 속에서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징집당했을 어린 독일군)을 죽이는 일을 선이라는 이름으로 행한다.

아마존에서 이탈해서 도시로 나와 인간처럼 보이기 위해 옷가게에 가서 벌어지는 짧막한 대화는 젠더 정체성에 대한 유머가 있는데, 나는 이 유머가 썩 좋진 않다. 원더 우먼이 젠더 정체성에 대해 알고 나오는 게 아니라 아이같은 순진함에서 나와서 오히려 남성의 시선처럼 느꼈다.

건장한 여신의 뒤를 따라 올망졸망한 남자들이 뒤를 쭐래쭐래 따라서 최전선으로 향한다. 나는 성별을 떠나 이렇게 초능력을 지닌 원탑 히어로에 의존하는 영화는 인간 세계의 부정성만을 보여준다는 생각에 썩 통쾌하지 않다. 많은 여자들이 이 장면에서 쾌감을 느끼려나? 문제 해결은 한 사람의 지도로 되는 게 아니라 협의와 협력, 양보와 타협이라고 말한다면, 너무 현대인같으려나...배경은 원시와 1차 세계대전이거늘.

3. 헐리우드 영화답게 권선징악의 결말이다. 전쟁의 신 아레스와 대결할 때 소중한 이(인간)를 잃었을 때 원더 우먼은 아레스에 대한 분노로 가득찬다. 분노는 결국 자기 파괴적이다. 파괴적 악에 분노가 아니라 용서와 사랑이 악을 없애는 힘을 얻는다. 미국 지배 이념인 바이블의 훈육 논리다. 이렇게 간단한 패러다임으로 헐리우드는, 원더 우먼은 관객을 지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