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인간이 순수한 이타주의를 실행할 수 없다고 믿는 편이다. 그럼에도 이타주의는 어떤 추진력에서 지속될 수 있는데 다르덴 형제가 <언노운 걸>에서 제시하는 건 죄책감이다. 죄책감이나 수치는 사람이 사람답게 행동하게 하는 중요한 감정이다. 우리는 불과 얼마 전까지 수치심과 죄책감이 없는 대통령을 봤었고 일반적 감정이 없을 때, 그 파장이 타인에게 얼마나 큰 공포를 주는지 경험했다.

이 영화에서 평범한 여의사는 주변 환경이 열악한 병원에서 임시로 일하기로 한다. 병원을 찾는 환자들을 보면 사회적 약자들이다. 불법이주노동자부터 정부보조금이 필요한 독거노인, 한부모가정의 가장 등. 관심이 필요한 사람들이고 젊은 여의사는 임시로 병원을 지킨다. 아마도 다른 가능성을 말하진 않아도 계속 있지는 않을 걸 암시한다. 하지만 한 사건이 여의사의 생각을 바꿔놓는다.

신원을 모르는 한 불법이민 소녀의 죽음이다. 병원근무시간이 끝난 후 소녀는 병원 벨을 누르지만 여의사는 진료시간이 끝났는데 찾아왔으므로 문을 열어줄 의무가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바로 그날, 소녀는 죽는다. 문만 열어줬다면 소녀가 죽지 않았을 거란 죄책감에 여의사는 소녀의 이름을 찾아나선다. 그러면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과 여의사의 세계관의 변화이다.

소녀의 죽음을 둘러싸고 소녀를 보거나 관계가 있는 사람들이 반응을 보이기 시작한다. 모두 죄책감에서 여의사한테 진실 조각을 말한다. 사실 이런 부분은 영화적 판타지, 혹은 다르덴 형제가 제시하는 판타지다. 현실은 죄책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도 많다. 죄책감이란 잘못을 인정해야 생기는데 잘못에 대한 기준 자체가 도덕적이길 기대하기 점점 어려운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 게 현실아닌가. 영화에서 소녀의 친언니조차도 소녀의 존재를 개인적 욕망으로 부정하는 게 현실이다.

아무튼 소녀를 목격한 소년, 그리고 소녀의 죽음과 직접 관련있는 소년의 아버지가 모두 여의사에게 고해성사를 하듯이 진실을 말하는 건 자신의 죄책감을 덜기 위해서였다. 여의사는 정말 객관적 태도로 사람과 행동에 대한 가치판단을 하지 않고 본인들이 어떤 판단을 결정하게 한다. 다르덴 형제의 인물이 고상한 지점은 바로 이 지점이다.

여의사는 일련의 사건을 겪으면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있는 태도를 갖춘 의사로 변해간다. 왕진을 다니는 조그만 지역사회에서 의사의 일은 아픈 부위만이 아니라 환자의 살아가는 방식에도 개입할 수 밖에 없다. 걷는 게 불편한 할머니의 가방을 들어준다든지, 당뇨합병증으로 발바닥이 부어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사회보장카드 충전을 위해 센터에 전화를 해준다든지...이런 삶의 태로를 학습해가는 걸 보여주는 영화여서 왠지 성장영화로 느껴진다.

박근혜 공판 라이브를 잠깐 봤다. 올림머리의 안녕이 몹시 궁금했는데;;; 큰 핀을 이용한 약식 스타일을 보니 그녀도 이제 정말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넜다고 생각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탄핵 수 자택으로 들어갈 때조차도 웃음을 잃지 않았던 그녀의 얼굴에는 처음으로 웃음기가 사라졌다. 그녀는 이제 죄책감 혹은 수치심을 느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