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폐한 2,3월을 보내고 4월은 피폐하게 보내고 있다. 얼마만에 영화를 보는지. 영화를 보고 책을 읽을 수 있는 여유를 갖는다는 게 얼마나 축복인지, 빼앗겨보면 안다고. 무리해서라도 서울아트시네마에 에릭 로메르전을 보러갈까 했으나 심신이 만신창이라 네이버 영화 다운으로 만족을.

2차 세계대전 독일의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컴퓨터의 할아버지격을 모델링한 천재 수학자 앨런 튜링의 삶을 다룬 영화이다. 천재의 삶은 하나의 관심사로 수렴되는 삶이라 일반인의 눈에는 썩 행복하진 않다. 긴급한 전시에 튜링의 집념을 학창시절과 교차편집되어 있다. 튜링은 왜 기계에 크리스토프란 이름을 붙였고 애정을 쏟나.

기계는 사람과 다르게 생각하고 사람도 각자 다르게 생각한다. 다른 사고체계를 가진 사람을 배타적으로 대하고 학교폭력의 희생자였던 튜링한테 크리스토프란 친구가 생긴다. 언어 혹은 대화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암호이다. 튜링과 크리스토프 사이에는 일반 언어대신 암호로 대화를 한다. 언어로 이루어진 대화는 여러 사람이 비슷하게 해독을 하지만 암호는 내부자 사이에서만 같게 해독을 한다. 은밀해서 사랑의 언어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겠다. 튜링은 일종의 너드고 크리스토프는 결핵으로 시한부이다. 암호화는 자연스럽고 암호해독 놀이로 사랑이 싹튼다. 사실, 영화에서는 이 부분을 상당히 모호하게 처리하고 살짝만 다뤘다. 튜링이 동성애자로 나중에 화학적 거세를 당하는 이야기까지 나아가지만 요점은 이게 아니다.

그리고 튜링의 삶에 한때 약혼자지만 평생의 여자친구 조안이 있다.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로 여자가 수학자인걸 인정하지 않아 조안이 일을 하는 걸 돕기 위해 튜링은 청혼을 한다. 조안은 튜링의 성정체성을 나중에 알고도 이렇게 말한다. 당신이 평범하지 않아서 좋아요. 사건은 일상적인 곳이 아닌 낯선 곳에서, 늘 행동하던 방식에서 벗어날 때 일어나고 과학적 발견이나 돌파구도 예외는 아니다. 아르키메데스가 실험실이 아니라 욕조에 앉아 "유레카"를 외쳤듯이.

튜링은 표면적으로는 불행한 것처럼 보이지만 학창시절 그의 다른 사고방식을 이해한 친구가 있었고, 전시에는 그의 연구를 지지한 조안을 만났다. 그리고 AI의 전신 크리스토프에 튜링은 자신의 영혼을 건다. 무언가에 영혼을 걸 수 있는 게 오늘 매력적으로 보인다. 보편적 시선으로는 불행해보일지라도 정작 튜링은 몰입할 연구를 할 수 없을 때만 불행했을 것이다. 그 순간 그는 목숨을 끊었을 거고. 주변의 시선에서 자유로운 영혼일 수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