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 영화를 보면서 서글픔의 쓰나미가 밀려왔다. 정말 화려한 출연진들인데, 조지 클루니, 틸다 스윈튼, 프랜시스 맥도먼드, 심지어 스칼렛 요한슨까지 죄다 늙었다. 프랜시스 맥도먼드 얼굴의 주름을 보는 순간, <파고>에서 독특한 발성으로 사투리를 구사하던 보안관의 목소리의 희미한 잔영은 있는데 얼굴이...


아무튼 나는 인물들이 모두 독특하게 말하는 코미디를 보고도 슬픔을. 찬바람이 계속 이어졌던 회색 도시 서울에서 봄볕이 제 역할을 하면서 개나리, 목련, 벚꽃이 사이좋게 무채색 도시를 물들이는 요즘이다. 길을 걸으면서 마치 꽃을 처음 보는 것처럼 유심히 꽃잎을 본다. 멀리서 보면 무채색 도시를 파스텔톤으로 바꾸는데 가까이서 들여다보면 목련 꽃잎은 갈색빛을 띤 것도 있고 바닥에 떨어진 꽃잎은 흉하기까지 하고 벚꽃 역시 바람에 흩날려 꽃잎이 떨어진 자리가 듬성듬성 비어있다. 꽃을 보면 이쁘다는 생각과 함께 덧없다는 생각에 자꾸 서글퍼지는데, <헤일, 시저!>에 출연진 모두 봄날의 꽃같다는 생각이 내내 들었다.


2

영화는 1951년을 배경으로 텔레비전이 등장하는 시기다. 텔레비전이 처음 등장했을 때 영화는 비극을 맞을 거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극장은 극장이고 텔레비전은 텔레비전이다. 카메라의 출현으로 그림이 초상화에서 풍경화로 방향을 틀었듯이 영화는 스케일이 다른 방향으로 노를 저었고 아직도 건재하다.


하지만 텔레비전 등장 초기에 맞서야하는 영화 제작자들의 두려움을 이 영화는 다룬다. 코엔 형제답게 영화가 과연 예술인가, 하는 질문을 던지면서, 말도 안 되는 소리며 공장에서 제작하는 하나의 공산품으로 바라본다. 배우는 돈을 위해 납치 자작극을 꾸미고 제작자는 밤낮으로 일하면서 격무에 시달린다. 시끌벅적하고 다혈질의 감독들과 콧대높은 배우들과의 트러블은 코믹한 일상으로 묘사된다.


어찌보면 메타 영화인데 영화 속에서 영화를 촬영하는 장면을 꽤 정교하고 화려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잠깐씩 <헤일, 시저!>란 영화를 보고 있다는 걸 잊고 영화 속 영화를 보고 있게 된다. 영화의 힘은 이런 거다. 현실은 문제도 많고 번잡하지만 문득문득 삽입된 영화촬영 장면을 보다보면 웃기도 하고 현실을 잊을 수 있기도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계속 제작되고 존재하는 이유다. 여전히 마음이 위안이 되는 매체다. 적어도 내게는. 어두운 극장 안에 앉아 있는 두 시간 남짓은 크나큰 안정감을 준다. 봄꽃을 보면 덧없어 슬픈데 영화는 영원할 거 같은 착각에 심한 위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