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나타>
두 주 토요일을 차이밍량 영화와 보냈다. 두 편에 공통점이 있다. 남녀 관계로 얽힌 대중적 공간에서 보는 고독이다. <청소년 나타>는 두 청년과 한 여자의 관계를 그린다. 마치 <내일을 향해 쏴라>에서 선댄스와 엣타, 그리고 부치의 삼각관계가 주 내레티브다. 그리고 여자를 짝사랑해서 세 사람을 스토킹하는 소강(이강생)의 이야기다.
오프닝에서 두 청년이 비오는 날, 공중전화 부스에 들어가서 동전을 훔치는 장면이 나온다. 축축하고 눅눅한 장면으로 시작하는데 영화 전체가 이런 분위기다. 소강은 재수학원을 그만두고 번민을 하는데 엄마와 계부는 소강의 마음의 동요를 독해할 수 없는 타자다. 소강의 심리상태는 오히려 집 바닥에 흥건한 물이나 기어가는 바퀴벌레로 표현된다. 축축한 곳에서 사는 바퀴벌레를 찔러서 잡는 장면이 여러 번 등장하고 유쾌한 물의 이미지가 아니라 습하고 바퀴벌레가 서식하는 그런 찐득한 이미지.
롤러 스케이트장에서 일하는 스무살인 여자는 무심한 남자친구의 사랑을 확인하려고 한다. 그녀한테 표면적 고민은 남자친구지만 실은 스무살이 지니는 헛헛한 마음을 대변한다. 후배랑, 오다가 이런 이야기를 했다. 이십대가 질풍노도의 시기로 상징화돼서 아픈 청춘이 된 게 아닌지, 모르겠다고. 내 이십대 일기장을 보면 질풍노도의 시기가 맞다. 까닭없는 불안와 우울이 자주 습격해서 나는 이십대가 빨리 끝나기를 바란다는 말을 종종 써놨다. 아무 것도 정해진 거 없는 가능성의 시기지만 무한한 가능성은 불안과 짝궁이다. <청소년 나타>는 인생을 소진하는 이들의 이야기다. 인생을 소진하는 걸 겁내는 이는 더 이상 청춘이 아니다. 그러고보면 불안은 늘 함께하는데 불안의 질이 다른 거 같다는 생각이.
<애정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