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츠바이크의 발자크 평전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안인희 옮김 / 푸른숲 / 1998년 11월
평점 :
전기문은 항상 흥미로우면서도 전기 작가의 시선을 통해 인물을 보기에 어떤 부분에서는 매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점이 있는데 츠바이크의 명성 그대로 끝까지 흥미진진하다. 발자크 인생 자체가 파란만장하다. "인생은 건설한 대상이 아니라 연소할 대상"이란 까뮈의 말처럼 발자크는 철처하게 인생을 연소하면서 살다간 게 아닌가. 우리는 인생을 주로 건설만하다 어쩡쩡하게 건설도 못하고 불사르지도 못한 아주 찝찌름한 상태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누군가가 인생에는 "지랄 총량의 법칙"이 있다고 했다. 일생에서 주어진 발광의 양을 채우기 마련인데, 츠바이크가 묘사한 발자크의 삶은 그 자체가 발광(發狂/發光)이다.
발자크는 어머무시한 몽상가이다. 머릿속에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발자크는 벌써 실행까지 나아간다! "내 생애의 모든 시기에 걸쳐서 나는 언제나 용기가 내 불행보다 더 큰 것을 보았다."(156) 그에게 좌절이란 우스운 것이다. 실패하고 일어나서 또 계획하고 실행하고 실패한다. 그러기 위해서 그는 글을 썼다. 소설을 쓰는 일은 그에게 아주 현실적 수단이었다. 원고료를 미리 계산해서 일을 저지르고 탕진한 후 남아있는 건 땡겨쓴 원고료를 갚기 위해 글을 써내는 거 였다. 무모한 계획에 대한 끊임 없이 도전하고 실패 후 재정 악화를 만회할 방법은 글을 쓰는 일 밖에는 없었다. 작가는, 발자크 한테 일종의 직업이었고 엄청난 재정적 파산 상태는 그가 끊임없이 글을 쓰는 추진력을 제공했다. 당시에도 엄청난 인세를 받고 인기를 누렸는데 그는 평생 빚에 허덕이며 살았다. 하루에 16페이씩 쓰는 일이 가뿐했다고 하니. 열심히 일했고, 열심히 실패하고. 안정 따위와는 천성적으로 거리가 멀다. 돈에 대한 그의 관점은 이렇다. "빚이 전혀 없거나 아주 조금일 경우에는 아끼지만 엄청난 빚은 사람을 오히려 낭비하도록 만든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162) 궤변같지만 일리가 있다.
"상상력과 정신력의 흥분의 능력을 가진 사람은 싸구려 모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발자크는 자기 내면에 충분히 긴장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긴장을 찾을 필요가 없었다."(202) 전체 삶의 궤적 자체가 그 어떤 소설보다 소설적이다. 예로, 오랫동안 구애를 한 러시아 귀족 부인이 있다. 그 부인을 사랑하기 보다는 그 부인이 가져다 줄 명예와 재산에 더 관심이 있었던 발자크는 그 여자를 사랑하기로 마음먹으면 사랑이 샘 솟는다. 하지만 그녀 역시 발자크의 기질을 알았던 터라 발자크의 구애를 질질 끈다. 하지만 발자크는 그녀의 거절로 불행하지 않다. 오랜 기간동안 이런 식으로 관계가 이어진다. 발자크 기질의 단면을 알 수 있다.
"발자크의 운명의 법칙은 자신의 꿈을 오직 책에서만 만들어낼 수 있을 뿐 현실에서는 절대로 이룰 수 없다"(657)츠바이크는 발자크의 운명에 대해 이렇게 정리한다. 불행하면서도 행복하게, 여한 없이 살다 간 사람이 아닐까. 행복과 불행의 기준은 주관적이긴 하지만.
덧. 빵 터진 말이 있다. "마흔 살의 여자는 당신을 위해 무슨 일이든 할 것이다. 스무 살 여자는 아무 일도 안 한다."(127) 발자크는 어릴 때도 연상 여인만을 뒤쫒아다녔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