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류승완 감독이 최고작을 꼽는다면 나는, <다찌마와 리>를 꼽을 것이다. <베를린>이나 <부당거래>같은 장르의 영화는 류승완 감독보다 훨씬 더 잘 만들 수 있는 감독이 많다는 걸 상기시켜 줄 뿐이다. <베테랑>은 <베를린>이나 <부당거래>의 어정쩡함을 극복하고 류승완표 영화 특성을 만들어낸 지점이기도 하다. 그럼 류승완 영화의 특성은 뭔가. 직설화법이다. 에둘러말하거나 정교한 스토리 따이는 류승완 감독이 잘 하는 게 아니다. 류승범의 발성법처럼 내지르는 화법. 단순하고 직설적인데서 오히려 웃음을 파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액션에 리듬감이 있어서 박자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같아 폭력적 장면에서 묘하게 상쾌함이 있다. 폭력적 장면을 즐기지 못하는 편인데도 말이다.
2.
한 영화 속에 두 개의 영화가 존재한다. 영화 시작 한 지 20분이 지나도 유아인이 안 나와서 내가 상영관을 잘못 찾아 앉아있나, 의심했다. 포스터에는 분명히 유아인이 있었는데 내가 다른 영화랑 착각했나, 하고 내 기억력에 깊은 회의를 품고 있을 때 비로소 유아인이 등장했다. 한 영화에 두 영화를 담다니. 광역수사대를 소개하는 오프닝이기도 하지만 20여 분 간의 오프닝은 하나의 단편영화로도 완전한 형식을 갖춘다. 그저 인물소개만이 아니라 기승전결까지 이어지는 오프닝 아닌 오프닝. 그리고 분위기가 바뀌어서 유아인이 등장하고 본편이 상영된다. 영화가 지루할 수 없다. 실제로 액션이 넘치는 영화가 아닌데 끝나고 나면 액션으로 넘치는 영화로 잔상이 남기도 한다.
재벌2세의 개망나니 짓을 정의로운 광역수사대가 밝힌다는, 판타지로 가득찬 게 내용이다. 이 영화에서 내용을 왈가왈부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다. 조태오가 마지막에 수갑을 차고 외친다. "이 거 푸는데 얼마나 걸릴거 같아? 한 시간이면 돼"하는 자신감을 보여준다. 이 대사는, 전체 판타지 영화에서 도드라지게 현실적이다.
3.
이 영화에서 여러가지 유형의 폭력이 나온다. 오프닝에서는 각본 짜 놓은 코미디처럼 박자가 맞는 자해(?)도 등장한다. 싸움의 종류에는 엔딩에서처럼 서로 맞부터 싸우는 장면도 있지만 오프닝은 힘보다는 박자에 중심을 둔 액션이다. 대치하는 인물이 형식적으로는 공권력과 재벌이지만 재벌은 누구한테나 폭력을 휘두른다. 조태오가 취미로 하는 격투기는 조태오를 마치 로마시대의 귀족이나 왕의 위치로 데려간다. 격투기의 본질은, 재미라서 파이터들 당사자들은 목숨을 내놓고 귀족을 즐겁게 하는 의무를 지녔다. 의무를 해 내지 못하면 죽을 운명인 게, 귀족 혹은 재벌의 마인드.
4.
유아인. <밀회>에서 유아인이 원래 저렇게 연기를 잘 했나, 감탄했다. 사실 그 전에는 유아인이 나오는 무언가를 본 적이 없기에 비교할 수 없다. 청년의 불안을 표정만이 아니라 제스쳐 전체에 그 아우라가 묻어나서 정말 보고 있으면 그 불안이 고스란이 전해져왔다. 아무튼 <밀회>를 보고 홀딱 반했는데 <베테랑>에서는 더 반하겠다. 내적 울분이 있고 폭력적 가정환경에서 자라 폭력적 성향이 폭발한다. 꼭지가 돌면 나오는 광기 어린 눈빛과 비열한 표정이, 원래 그런 사람같은 인상을 준다. 남자배우들은 좋은 배우가 많은데 여자배우는 최근에 누굴 보고 감탄했는지 잘 안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