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로 히로카즈 감독 영화를 처음 접했었다. 아트시네마가 낙원동으로 옮기기 전이었다. 지금 아트선재였던 곳인데 그곳 공기는 정말 목이 칼칼해지고 영화를 보다보면 몸까지 근질근질해지던 기억이 있다. 영화는 한없이 지루하게 다가왔고 몸은 그 어떤 때보다 근질근질했고 극장에서 나온 후에는 유미코(에스미 마키코)의 뒷모습만 기억나는 영화로 남아있다. 지난 주에 후쿠오카에 잠시 다녀왔다. 텐진에서 유미코가 탔을 법한 낡은 전철을 타고 40여 분쯤 가면 있는 야나가와란 마을에 다녀왔다. 해질녘이라 찬찬히 둘러보지 못했지만 잠시 동네를 둘러보는데 그렇게 편안할 수가 없었다. 한적하고 오래된 꾸미지 않는 집들이 있는 동네. 바로 이런 동네가 일본의 속살이 아닐까 싶다. 야나가와에서 다시 후쿠오카로 돌아와야하는데 발걸음이 안 떨어졌다. 집에 왔는데 야나가와 풍경 잔상은 여전히 찰랑이고 자꾸 <환상의 빛>이 떠올랐다.
사람은 참 간사하다. 내가 야나가와란 작은 마을에 애정을 가지고 영화를 다시 보기 시작하니까 장면마다 감성으로 흘러넘친다. 이 영화의 배경은 아마도 오사카 근교로 짐작되는 작은 마을과 어느 작은 어촌 마을이다. 이 영화 속 배경이 주는 잔잔한 위안과 편안함을 전에는 미처 못 알아봤다. 배경 풍경이 <환상의 빛>의 서사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영화 속 일상은 실제로 좁은 공간에서 일어난다. 기차가 지나는 소리가 늘 들리는 이층 방 안. 방에서 나와 좁은 계단을 내려오면 기차가 다니는 길이 위로 보이는 작은 골목. 그 골목 입구에 굴다리같은 게 있다. 일상과 일상 밖을 잇는 일종의 경계. 남편이 출근하거나 퇴근할 때 굴다리 밑으로 사라져가는 뒷모습을, 유미코는 바라본다. 깊숙한 골목에 자리잡은 집만큼 행복도 눈에 안 띄게 소소하지만 화면을 응시하면서 저런걸 행복이라고 부른다는 걸 우리는 안다. 행복한 신혼부부의 일상 속에 어느날 사건이 일어난다. 남편이 기차길에서 자살을 한다. 유미코가 겪음직한 충격의 강도를 간접적으로 알게 된다. 세 달된 아들마저도 돌보지 않은 채 넋을 놓고 있다고 친정엄마의 입을 통해 전해진다.
시간은 흐르고 아들이 학교에 입학 할 무렵 유미코는 작은 어촌 마을에 살고 있는 한 남자와 재혼을 한다. 남자는 열 살된 딸이 있다. 유미코는 낡은 기차를 타고 오사카를 떠나면서 과거도 오사카역에 두고 온 것처럼 보인다. 새로 정착한 집 방의 창은 바다를 향해 나있다. 창을 통해 파도소리와 바람소리가 늘 들린다. 기차가 냈던 소음은 바다가 만드는 소리로 대체된다. 익숙한 소리가 바뀌는 건 익숙한 공간에서 빠져나왔다는 말이다. 다른 소리로 찬 공간이 원래 자리를 차지하면서 유미코의 일상은 잠시 출렁인다. 그러나 유미코는 곧 어촌마을에서 일상에 동화되는 것처럼 보인다. 공간이동이 있었지만 오사카 마을에서나 어촌 마을에서의 일상은 대동소이하고 모두 서정적이다.
주로 롱테이크와 롱샷으로 이루어져있다. 멀리서 보면 인물의 움직임이나 동작은 모두 자연의 일부일 뿐이다. 휘휘 부는 바람 소리 속에 대사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이따금씩 인물이 빠져나가거나 혹은 인물보다 먼저 카메라가 자리잡고 무인의 풍경으로 프레임을 구성한다. 그 무인의 풍경은 전혀 화려하지 않다. 낡고 먼지낀 문이나 다다미 방이 있는 복도등(오즈 영화를 떠올릴 수 밖에 없는 샷들도 있다)을 보여준다. 이런 일상적인 무인의 풍경은 마음을 열고 다가가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것들이다. 카메라가 이끄는대로 무인의 풍경을 응시하다보면 어느새 무인의 풍경 속으로 깊숙히 들어가게 된다. 관객을 위한 무인의 풍경에 두 발을 다 담그는 순간 그 곳에 있을 인물들의 심리를 헤아리게 된다. 감독이 말하고 싶은 것에 도달하는 여정에 속에 서정적 풍경이 펼쳐져 있는 셈이다.
이 영화는 죽음의 그림자로 시작한다. 할머니의 죽음을 암시하는 꿈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유미코의 전남편이 죽는다. 자살로 판명되는 죽음인데 자살의 원인을 아무도 모른다. 유미코는 상실감을 느낀다. 상실감은 주디스 버틀러에 따르면, "우리가 갖고 있었다는 것, 우리가 욕망하고 사랑했다는 것, 우리가 우리의 욕망의 조건을 찾으려고 고군분투했다는 것"이다. 남편의 죽음은 유미코가 남편과 함께 공유했다고 믿었던 행복이 부정되는 사건이다. 유미코의 상실감은 남편이 죽은 지 수 년이 흐르고 재혼을 해서 행복한 가정을 이루면서 잊은 듯 보이지만 사라지지 않았다. 문득문득 찾아오는 상실감은 전남편에 대한 애도로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 "애도란 자신이 겪은 상실에 의해 자신이 어쩌면 영원히 바뀔 수도 있음을 받아들일 수 있을 때 일어난다"(주디스 버틀러, <불안한 삶>에서)고 했다. 유미코는 자신의 삶이 남편의 죽음으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갔다는 걸 인정하지 못한 채 있었다.
그러다 어느 날 누군가의 장례식 같은 장면이 바닷가를 따라 이어진다. 마을 공동체 일원일 누군가의 죽음에 전남편의 죽음이 오버랩되고 진정한 애도를 위한 발화를 한다. 왜 남편이 자살했는지 모르겠다고 말하자 남편은 자신의 아버지 이야기를 한다. 아버지는 평생 배를 탔는데 바다 한가운데 있으면 바다 밑에서 밝은 불빛이 비추면서 자신을 부르는 거 같다고 했단다. 유미코의 전남편도 그런 느낌으로 기찻길을 걸었을 것이고 기차가 와도 피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그리고 카메라는 유미코의 남편이 아이들과 집앞에서 노는 풍경을 바다 건너편에서 담는다. 다음 장면은 유미코 부부의 빈 방. 빈방 창으로 바닷바람이 들어와 언제나 그랬듯이, 커튼을 흔든다. 그리고는 엔딩크레딧이 올라간다. 일상의 풍경은 변함없이 늘 제자리에 있었다. 변한 건 유미코다. 유미코는 이제 어촌 마을의 진정한 아낙이 되어갈 것이다. 전남편에 대한 애도가 완성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하는 이의 죽음으로 인해 고립되며 관계가 단절되는 게 아니라 새로운 관계가 파생되는 순간으로 전남편의 죽음을 받아들인다. 죽음과 같은 상황의 끝이라고 여길만한 것에서 빛을 본다. 죽은 자 혹은 버린 것에 대한 애도로 바뀐 궤도를 직시하고 인정한다. 끝은 또 다른 시작점이라는 걸 잊고 있었다. 오랫만에 히로카즈 영화를 다시 보고 굴다리 너머에 비추는 빛의 의미에 마음이 따뜻해지고 위안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