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 예술작품의 흥행/성공은 결국 불행으로 귀착한다. 여기서 불행의 정의가 아주 주관적이고 모호하긴 한데 관객의 외면이라고 해 두자. 흥행 성공은 작가가 다른 길을 모색하는 도화선이 된다. 새로운 길은 종종 관객의 이해심을 넘어서는 급진적인 것일 때가 많다. 새로운 길을 못 찾거나 안 찾고 기존 작품과 비슷해도 관객은 외면한다. 결국 한 작품의 큰 성공 이후는 어느 모로 보든 실패하기 마련아닐까. <나의 삼촌>으로 흥행에 성공한 자크 타티는 새로운 걸 원했다. 미니멀리즘에 코미디였던 <나의 삼촌>에 비하면 <플레이 타임>은 대작이다. 파리 근교에 타티빌이란 터다란 세트를 유리와 철로 지었고 이 영화는 <나의 삼촌>에 비하면 블록버스터급이었다. 그러나 관객은 숨은 그림 찾듯이 스크린에서 윌로 씨를 열심히 찾아야하는 영화를 좋아할 리 없었다. 타티는 파산했고 말년에 곳곳에 공연을 다니면서-타티는 마임 코미디언이기도 했다- 딸한테 편지를 남겼고 그 편지를 바탕으로 <일루셔니스트>란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졌다. <플레이 타임>을 보면 그래서 좀 슬프다.
2.
<플레이 타임>에서 소비사회로 이행하는 도시를 시각화하는데 총력을 기울인다. 이 영화 역시 특별한 줄거리가 없다. 줄거리가 없기에 주인공도 없다. 많은 사람들이 등장하는데 어떤 목적을 위해 한 공간에 모인 이들이다. 파리 관광을 하는 미국인 관광객, 최신식 인테리어를 자랑하는 식당 내부에 모인 손님들, 그리고 행인들이 등장한다. 윌로 씨의 행보를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사방이 유리로 된 사무실로 가득한 회사, 식당, 미국 관광객을 태운 버스. 사무실 씬은 획일적이면서 익명적 특성을 묘사하고 있다. 윌로 씨는 첨단 사무실에서 우왕좌왕하는데 사실 이 부분에서 딴 생각 엄청 많이 했다.ㅜ.ㅜ
식당 씬에서 꽤 많은 소소한 웃음이 발생한다. 부실한 실내 인테리어 탓에 유리문은 깨지고 천정 마감재가 무너져 내리고, 의자는 옷에 자국을 남긴다. 식당 직원은 이런 결함을 숨기려고 애쓰고 손님들은 테이블 앞에 있는 공간에 춤을 추느라 정신이 없다. 마치 음악이 나오는 한 몸이 부서질 때까지 춤을 추겠다고 다짐한 것처럼 보이고 이 소란함을 배경으로 처리하는 게 아니라 주요 장면으로 채택한다. 클럽에 처음 발을 들여 놨을 때 그 얼떨떨한 기분을, 영화에서 느끼게 된다. 비틀거리면서도 춤을 멈추지 않는 사람들을 보고 있자면 소비행위로 에너지가 소진되는 건 바로 이런 것이다, 하고 보여주는 것 같다.
그리고 하일라이트 버스. 영화 속 배경이 파리라는 걸 단 두 컷만으로 보여준다. 유리문에 비친 에펠탑과 성심성당으로 이곳이 파리라는 걸 알 수 있다. 도시화는 세계를 모두 닮게 했다. 미국의 대도시나 서울이나 파리나 본질은 비슷하다. 사무실 풍경, 쇼핑가. 다만 관광객은 비슷한 풍경에서도 소비자로 행동하려는 적극성을 지닌다. 길에서 꽃을 파는 이를 세워두고 사진을 찍는 장면이라든지 지나가는 풍경에 시선을 돌리고 거두는 지점이 같아서 마치 놀이기구를 타는 걸 연상시키는 유명한 장면을 만들어낸다. 놀이기구란 게 제한된 좁은 공간에 갇혀서 몸을 소유한 이의 의지가 아니라 기계가 움직이는 대로 움직이게 된다. 관광객은 도보가 아닌 버스를 타고 관광을 하고 버스는 하나의 놀이기구가 된다. 그러니까 차창을 통해서 미국인들은 파리를 바라보고 잠깐 쇼핑몰에 내려 기념품을 산다. 행락객으로서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