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코엔 형제의 말을 통해 유추해보면 코엔 형제를 비롯한 많은 감독들이 어떤 작은 모티브에서 시작해서 영화 한 편을 구상하고 완성한다. 이 영화는 책을 읽다가 영감을 받았으며 60년대 초 밥 딜런이 유명해지기 전에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씨네큐브 영화 소개 리플릿에 "코엔 형제가 포크락의 기원을 추적해간다"고 이상하게 적어놨다. 코엔 형제랑 좀 어울리지 않는다 싶었는데 영화를 보다보면 그 말이 꼭 틀린 건 아닌데 포크락의 기원 추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코엔 형제스럽지 않다 했는데 영화를 보면 그들만의 색이 곳곳에서 나타난다.

 

2. 영화 첫장면에서 르윈 데이비스의 기획사 사장과 할머니 비서의 대화가 있다. 돈이 절박한 르윈 데이비스를 투명인간 취급하고 두 사람의 대화는 탁구 단식처럼 오고 간다. "우편물이 왔어? 우편물이 왔다니까요. 그러니까 우편물이 왔냐구? 우편물이 왔다고 했잖아요."(정확하진 않지만) 이런식의 대화인데 그 특유의 톤은 코엔 형제의 특허다. 나이들어 가는 귀 먹은 두 노인의 대화로 볼 수도 있지만 이런 일상에서 쳐내는 유머에 히죽히죽. 서로 같은 말을 하고 있지만 알아듣지 못해서 같은 말을 반복하는데 웃음이 파생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웃음 속에는 타인과의 소통 부재를 희화한다. 희극 버전의 카프카가 떠오르는데, 만약 코엔 형제가 이 말을 듣는다면 아니라고 부인할 것이다. 그들은 영화에 어떤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는 걸 싫어라하는데 보는 이들한테는 어떤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게 충동질하는 면이 있다.

 

또 인상적인 장면은, 운전하는 장면이다. 서너 번 나오는 거 같다. 특히 눈이 오는 야간 운전 장면이 있는데 카메라의 위치는 헤드라이트와 같아서 우리가 스크린에서 보는 건 아스팔트와 헤드라이트 위쪽 위치는 어두운데 눈이 어둠 속에서 나와서 차를 향해 달려오다 맥없이 갈라진다. 이런 장면이 참 좋은데 카메라가 달려가는 속도감과 뒤로 이어지는 어둠이 르윈 데이비스의 현재 상황을 이미지화했다고도 할 수 있다.

 

3. 영화는 한 무명 뮤지션의 고군분투기라고 한마디로 말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승(!)에 안 찬다. 왜냐하면 이 영화에서 배우들이 직접 기타를 치며 노래하기 때문이다. 배우들이 정말 60년대 출신처럼 노래해서 영화 본 후 좀 찾아봤더니 다들 노래를 하는 배우들이었다! 르윈 데이비스 역을 연기한 오스카 아이삭은 실제로 오디션을 봤다고 한다. 코엔 형제는 알맞은 배우가 없다면 이 영화를 찍지 않을 거라고 했고. 오디션을 본 지 한 달 쯤 후, 코엔 형제한테 전화를 받고 영화 출연을 확정했단다. 그러니까 이 영화가 오스카 아이삭이 없었다면 나오지 않았을 수 있다.

 

4. 르윈 데이비스가 무명이기에 벌어지는 에피소드들을 담는다. 성공하기 까지의 과정을 담는 게 아니다. 추운 겨울에 가을 재킷으로 버티며 매일 밤 누구네 집 카우치를 빌릴지 고민한다. 짐이라고는 달랑 기타 하나와 작은 가방 하나. 한 때 선원이었다가 음악을 하는데 음악을 하기 전에 굶어죽을 수도 있기에 음악을 포기하려는 과정을 담는다. 어떤 동정이나 연민을 당연히 밀어내고 르윈 데이비스 표정도 겨울 날씨만큼 서늘하게 표현된다. 시카고에 있는 유명 클럽에 어렵게 도착해서 오디션을 보지만 듀엣이나 트리오를 하라는 조언을 듣는 게 전부. 더 떨어질 곳이 없는 극한 절망의 순간에 사람은 르윈 데이비스처럼 냉정해지기도 한다. 다시 선원으로 돌아가는 것도 돈이 없어서 못 하고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자신을 푸대접한 주인이 운영하는 클럽에서 다시 노래하는 것 뿐. 이 때 목소리는 정말 소울이 승천한 거 같다.

 

5. 금요일 저녁에 간신히 표 구해서 봤는데 코엔 형제가 이렇게 인기있는 지 몰랐다.

 

6. OST를 어디서 구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