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의 필모그래피를 살펴봤더니 본 영화가 없다. 이 분 원래 이렇게 연출하시나? 영화가 강약이 없고 처음부터 끝까지 강이다. 영화 보고 나니 기가 쪽 빨리는 기분이었다.-.-

 

나는 이 영화를 프레디와 랭카스터의 버디무비로 보고 싶다. 랭카스터는 프레디한테, 프레디는 랭카스터한테 서로 마스터다. 영화는 먼저 프레디를 소개한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제대를 하는 군인들을 모아두고 장교가 이런 말을 한다. "여러분과 같은 경험을 했다면 누구라도 신경쇠약자가 될 것이다." 전쟁의 상흔로 프레디는 섹스, 알코올 중독자가 된다. 이런 소재를 수도 없이 보아 왔지만 프레디의 캐릭터에 입혀진 불안한 모습은 슈퍼갑인듯. 제대 후 쇼핑몰에서 사진사로 일하는데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품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비춰진다. 프레디한테 왜 마스터가 필요한지 보여준 후 랭카스터를 소개한다. 현재는 수면상태고 과거의 기억을 소환해서 분노와 억압을 치유해서 동물적 행동을 통제하는 영적인 완전한 존재로 거듭난다는 이론의 창시자다. 영화 속 묘사로 짐작할 수 있는 건, 랭카스터는 지지자들도 많지만 반대자들도 많다. 랭카스터와 프레디가 만나는 장소는 바다 위를 항해하는 배로 의미심장하다. 어떤 가설이 이론으로 발전하는데 실험과 증명의 과정이 필요하다. 실험과 증명 과정에는 무수한 의심과 회의가 존재하고 반박도 있다. 랭카스터는 자신의 이론에 대한 절대적 신뢰와 지지자가 필요하다. 물론 배 안에 모인 사람들은 지지자지만 마음 한구석에 불신의 씨앗을 품고 있다. 그의 아들과 딸은 그 대표자들이다. 그러니 랭카스터는 적들을 피해서 바다 위에 있다. 그리고 긴 힘든 여정을 함께 할 프레디를 만난다.

 

사람은 무리를 이루는 동물이라 그런지 자기와 친구가 될 동질감이 있는 사람을 본능적으로 알아보는 경향이 있다. 랭카스터와 프레디는 한눈에 서로 닮은 꼴이라는 걸 알아본다. 인간의 동물성을 지양을 주장하는 이와 신체 감각이 원하는대로 행동하는 동물성의 표본이 어떻게 닮은 꼴일 수 있는가? 랭카스터는 모순적 인물이다. 그러나 모든 인간의 본성은 모순된다. 착한 사람도 악할 수 있고, 이성적인 사람도 감정적일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고 서머싯 몸이 말씀하셨다. 랭카스터는 자신의 이론을 방어하느라 극도의 긴장 속에 있다. 나머지 한쪽 본성(환각제가 든 술에 대한 탐닉과 성적 욕망, 분노같은 다혈질 기질 등)은 프레디를 만나면서 자연히 드러난다. 프레디는 랭카스터가 억눌러야 하는 본능에 대해 의문이나 질문을 하지 않으며 이해할 수 있는 인물이다. 프레디 역시 어느 누구와도 진지한 대화를 한 적이 없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어린 시절 가족사부터 해군시절 만났던 가슴 속 첫사랑의 이야기까지 장난스런 놀이 혹은 실험 프로세싱을 계기로 발화하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사실 모든 정신분석학적 치료 과정의 제 일단계는 발화에 있다. 말할 줄 몰랐던 프레디가 말을 하게 되고 랭카스터는 이성으로 누르고 있던 본능을 육체로 말하는 전혀 다르지만 한편으로는 같은 프로세싱이 이루어진다고 하겠다.

 

두 사람 사이에 교감은 점점 커져간다. 프레디는 랭카스터를 닮아가고 랭카스터는 프레디를 닮아간다. 나는 두 사람 사이에서 어떤 동료애를 넘어선 사랑까지도 존재한다고 확장 해석하고 싶다. 프레디가 랭카스터를 떠나서 이성의 사랑, 도리스를 찾아간다. 그러나 도리스는 떠나고 없다. <캐스퍼>란 애니매이션이 상영되는 극장에서 축 늘어져 있는 프레디는 유령같은 캐스퍼다. 랭카스터가 자금유용으로 경찰에 연행될 때 보여준 프레디의 광기 어린 우정은 마치 연인같기도 하다. 우리는 연인의 개념을 지극히 협의의 의미로만 사용하는데 광의에서 연인이란 혈육이 아닌 다른 이가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지않나.....

 

아무튼 그러니까 인간은 혼자서는 불완전하고 마스터가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같다. 인간은 스스로를 통제할 수 완전한 영적 존재라는 말은 하나의 이론일 뿐이다. 이론은 현실이 아니다. 현실에는 많은 변수가 있는데 이론은 이 변수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을 때가 많아 약점이 많다. 인간이 육체와 정신 중 어느 한쪽으로만 집중해 있을 때 드러나는 불안정성은 얇은 유리같다. 언제든 산산이 조각나버릴 수 있는. 엔딩 무렵에 랭카스터가 프레디한테, 마스터가 없이 살 수 있다면 떠나라고 한다. 프레디는 떠난다. 그러나 한 여자를 만나고 섹스 중 프로세싱을 한다. 프로세싱은 프레디한테 일종의 대화법이다. 그리고 엔딩크레딧이 올라가면서 노래가 나오는데 후렴으로 파트너가 바뀐다..라고 반복된다. 랭카스터는 더 이상 프레디의 마스터가 아닐지 모른다. 그러나 프레디는 또 다른 마스터를 찾고 찾아야한다. 아마도 랭카스터도, 그리고 관객도. 삶은, 어쩌면 마스터를 찾아 헤매는 과정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