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인의 사무라이>는 집에서 편안한 자세로 절대로 볼 수 없고 반드시 극장의 좁은 좌석에 갇혀 불이 켜질 때까지 스크린을 응시해야하는 물리적 환경이 필요한 영화다. 207분이라는 긴 런닝타임도 있고 당시에는 몹시 스펙터클하다는 찬사를 받은 영화지만 지금 보면 액션씬들은 귀엽기만 하다. 영화는 세 파트로 나눠지는데 마지막 전투씬을 제외하고는 생각보다 정적이다. 지루한 이유 중에는 선명하지 못한 필름의 상태 탓도 있다. 한 시간 가량, 7인의 사무라이를 모으는 과정이 유머러스하게 그려진다. 각 사무라이들의 성격과 개성을 부각시키는 중요한 시간인데 머리 모양이 모두 비슷한데다 화면도 어두컴컴해서 다 비슷해 보이는 주책맞은 눈으로 보게 된다. 심지어 후배는 모든 사무라이들 얼굴 속에서 고창석이 숨어있는 것 같다고.ㅋ 중요한 첫 파트에서 이럴 지경이니 마을 사람들과 사무라이들과의 소소한 에피소드를 다루는 두번째 파트에서는 온 몸이 욱신거렸다. 전날 운동으로 덜 풀린 근육들이 돌봐달라고 달려드는 것 같은데 거의 만석이라 팔다리도 뒤척이기 조심스런 관람 환경이었다. 영화 관람 자체가 큰 일(!)을 하고 있다는 망상으로 빠져들게 했다.
중간에 인터미션도 있었지만 아무래도 이 영화는 세번째 파트에서는 눈을 크게 뜨게 한다. 내가 유심히 본 건 산적떼를 잡기 위한 전술이다. 머릿수로는 맞짱 뜰 수 없기에 한 사람씩 마을로 들여보내서 포위해서 제거한다. 리얼리티가 있다기 보다는 영화에서 스펙타클이란 어떤 것인지 제공한다. 아키라 감독과 공동 시나리오를 쓴 하시모토 시노부가 쓴 <복안의 영상>에서 <7인의 사무라이> 작업과정을 재밌게 읽었다. 근데 나는 아키라 감독의 유머러스한 영화보다는 진지한 후반기 영화가 더 좋다. 그러니까 하시모토 시노부가 공동 작업이 아니라 갈 길을 잃은 영화라고 혹평했던 <란>이라든가 <가케무사>같은 비극적 요소들이 있는 영화가 더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이 영화들은 컬러 영화기도 하다. 즉 비교적 선명한 필름으로 볼 수 있다는 말이고 화면의 선명함도 영화 감상에 분명히 영향을 미치긴 하는 것 같다. 아무튼 드디어 <7인의 사무라이>를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