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라마 <내 연애의 모든 것>을 보고 뒤늦게 신하균한테 덕후심이 샘 솟았다. 워낙 다작 배우라 5월을 힘들게 보냈다. 덕후심 돋기 전에 영화도 여러 편 봤지만 신하균이란 배우의 가치를 전혀 못 알아봤는지 알 수 없는 일. (심지어 신하균을 직접 본적도 있는데!) 아무튼 <지구를 지켜라>는 개봉 당시 설왕설래 했던 말까지 기억하지만 정작 영화는 이제서야 보게 되었고 의미있는 영화를 이제라도 보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해야하나. 영화가 흥행에 참패한 이유를, 누군가 포스터 탓이라고 하는데 정말 포스터 후지다. -.-
2. 병구란 인물이 안드로메다에서 온 외계인이라 믿는 강사장(백윤식)을 납치하면서 영화는 시작한다. 피부를 벗겨낸 발등 위에 물파스를 바르며 교신을 방해하기 위해서라고 하는 둥, 하니 코믹물인 줄 알았는데 점점 이야기가 심각해진다.
병구는 항우울제 복용자다. 그가 왜 항우울제를 복용하게 되었는지 지루하게 말하는 대신 몇 개의 플래쉬백을 통해 간결하게 요약한다. 탄광촌에서 살던 학창시절, 아빠는 갱에서 돌아가시고 엄마는 강사장의 화학공장에서 아마도 어떤 화학물질 때문에 식물인간이 되었다. 가난했던 고교시절 담임은 수업료를 내지 못한 병구한테 폭력을 휘두른다. 병구의 정신 착란의 원인은 푸코의 말대로 "문화적 억압"이다. 푸코는 병리학적인 것은 문화 유형의 한 요소라고 했다. 병구 개인의 역사는 병구가 속한 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사회적 약자로 병구가 할 수 있는 건 망상과 착란으로의 도피다. 강사장을 잡긴 했지만 강사장이 외계인이라는 자백을 받기 위해 고문은 필요한 일. 그러나 병구한테는 고문할 초인적 힘이 필요하다. 먹으면 5초 만에 기분이 좋아지는 약을 먹을 수 밖에 없다.
병구는 왜 외계인이란 망상을 만들어내서 자신의 복수라고 생각하지 않고 지구를 구한다고 생각했을까? 병구는 지구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직접 체득했기 때문이다. 엔딩 시퀀스에서 강사장은 정당방위로 병구를 사랑하는 순이를 죽였다. 그리고 병구도 죽어가고 있었다. 강사장은 자본이라는 거대 조직의 대표자고 권력과 밀접하게 닿아있는 사람이다. (강사장은 경찰청장의 사위다) 죽어가는 중 병구는 온 힘을 다해 강사장한테 총을 겨누는데 병구를 쫓던 (서울대 출신인) 엘리트 신참 형사가 나타나 병구를 뒤에서 쏘고 강사장을 구한다. 병구 엄마를 식물인간으로 만든 자본가한테 법은 그 사람에 합당한 보상만 이루어지면 그만이라고 편들어준다. 자본 축적에 걸림돌을 공권력이 개입해 제거해주는데 신참 형사가 나아갈 길을 암묵적으로 표현한다. 병구는 처음부터 죽어야할 운명이었다. 사회 조직 폭력 속에서 단지 광기만이 병구의 생을 지탱해 줄 힘이었을 것이다. 병구는 억압을 당했던 이라 이런 구조적 모순에 대해 꿰둟고 있어서 지구를 지켜야한다고 한 게 아닐까. 병구는 결국 죽는다. 병구를 죽인 이들도 죽긴하지만 지구는 가망이 없다. 외계인도 지구를 바꿔보려고 하던 실험을 중단하고 지구에서 철수한다. 병구도 죽었는데 이제 지구는 누가 지키나. 엔딩이 아주 슬프다.
3. 영화를 어떤 하나의 장르로 자꾸 분류하려고 하는 짓은 어리석다고 생각한다. 한 영화를 명쾌한 장르적 특성에 가두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이 영화는 외계인이 등장하긴 하지만 SF 영화가 아니다. 복합적 특성을 보여준다. 스릴러와 호러, 드라마까지. 이 말은 영화가 많은 이야기를 한다는 뜻이다. 이렇게 많은 이야기를 하려다보면 영화가 산만해지기 쉬운데 이 영화는 산만하지가 않다. 미장센들도 너무 좋다! 가령 병구가 마네킹을 만드는 일을 하는 것. 병구는 지구인들과 사이좋게 지낼 수 없는 아웃사이더다. 사람을 그대로 본 떴지만 사람이라고 부르는 정신적 특성, 특히 부패한 정신적 특성을 거세한 게 마네킹이다. 사물이지만 사람에 대한 병구의 깊은 향수를 엿보게 하는데 애잔하다. 입구에 설치한 CCTV 카메라도 마네킹이 달고 있다. 사람은 병구를 해치지만 마네킹은 병구를 구해준다. 뭐 이런 의미로 보인다.
병구의 이중적 정신 세계를 보여주는 집도 매력적이다. 지하와 지상 두 세계의 공존. 지상층은 아름다운 자연 속에 어울려있고 지하엔 마네킹 전신이 아니라 각 부위 별로, 도서관 책장에 책들처럼 가지런히 놓여있다. 병구는 자신만의 지하 연구실에서 외계인을 만들어냈다. 이전의 살인도 마케킹 속에 섞여 있는 신체 부위를 전시하면서 병구가 연쇄 살인을 했다는 걸 보여준다.
덧. 장준환 감독이 만들고 신하균이 출연한 단편 <털>을 봤는데 장준환 감독의 비급 정서, 급호감돋는다. 병구 캐릭터 변주곡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