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영화포스터 커버 특별판)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플로베르의 앵무새>로 줄리언 반스를 알았는데 꽤 흡족했던 기억이 있다. 줄거리 중심의 소설이 아니라 결말로 향해 가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작가의 사유에 매력적이었다. 이 소설은 마지막에 헉, 하는 감탄사를 내뱉게 하지만 줄거리가 중요한 소설은 아니다. 육십이 넘은 "평균적 삶"을 살아 온 한 남자가 십대와 청년기를 회상하는 연대기적 플롯을 가지고 있다. 개인의 역사를 반추하는데 청년기의 치기를 미화하며 살다가 어떤 계기로 과거 조각들을 퍼즐처럼 맞춰가는 과정이 중요한 소설이다. 긴장감을 위해 스릴러 형식을 취했는데 좀 지루한 면도 있다. 반즈의 역사에 관한 입장은 이렇다. "역사는 살아남은 자, 대부분 승자도 패자도 아닌 이들의 회고에 더 가깝다는 것을."(101)
대학시절 자살한 친구의 죽음을 바라보는 화자는 그 친구의 당시 심경이 궁금하지만 죽은 자는 말이 없는 법. 친구의 죽음에 대한 이유는 추론과 억측으로 회자되고 시간과 함께 기억 속에서 희미해진다. 사십 년이 흘러 친구의 죽음을 다시 소환하게 된다. 친구의 죽음이라는 객관적 사건 속에서 자신이 살아온 궤적에 부여한 주관적으로 해석을 전복하고 객관성을 부여해 볼 것을 안내한다.
"우리는 살면서 우리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얼마나 자주 할까. 그러면서 얼마나 가감하고, 윤색하고, 교묘히 가지를 쳐내는 걸가. 그러나 살아온 날이 길어질수록, 우리의 이야기에 제동을 걸고, 우리의 삶이 실제 우리가 산 삶과 다르며, 다만 이제까지 우리 스스로에게 들려준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우리에게 반기를 드는 사람도 적어진다. 타인에게 얘기했다 해도, 결국은 우리 자신에게 얘기한 것에 불과하다는 사실을."(165)
말화는 이는 발화자인 동시에 청자란 말씀. 발화된 이야기는 더 이상 현재가 아니고 과거가 돼 버리는 속성이 있다. 실재하는 소소한 에피소드를 듣는 이는 말하는 이의 윤색을 통해 이미 더 이상 실재가 아닌 에피소드를 듣는 셈이다. 나는 어떤 윤색을 해서 내 삶을 허구화하는지 궁금하다. 모든 이의 삶은 실재하며 또 한편으로는 허구다. 살아가는 것은 실제지만 어떻게 살아가는 지 말하는 건 일종의 허구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다. 자신의 과거가 허구인 걸 깨달았을 때 우리가 취할 자세는? 소설 속 화자는 늙그막해서 그런지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주변과의 화해를 권한다. 내가 반스 나이쯤 되었을 때 과거를 바로 알고 주변과 화해할 깜냥이 될 지는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