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톰 후퍼란 분이 영화를 잘 만드시는 분은 아닌데 대중의 마음을 읽는 기술은 좀 있으신 거 같다. 한국감독으로 치면 이준익 감독같은 느낌이랄까. 깊이는 좀 부족한데 대체적인 정서를 느끼게는 한다. 식상해서 안 볼까 했는데 다들 난리라..대세에 합류. 아무런 기대 없어서 그런지 생각보다 괜찮음. 한가지 큰 불만은 뮤지컬이라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작곡이 형편없음. 대사에 그냥 리듬감을 좀 준 정도다. 앤 해서웨이의 독창(앤 해서웨이는 얼굴만 이쁜 배우가 아니었다!), 코제트, 마리우스, 에포닌의 애절한 삼중창 정도만 인상에 남는다.

 

2. 위고가 위대한 이유는 역사라는 피해갈 수 없는 거대한 서사시 속에 개인을 녹여내는 힘 때문이리라. 이러저러한 이유로 혁명 과정을 꽤 유심히 봤고 영화가 지루한 면이 있기에 스크린을 보면서 여러가지 잡생각을 많이 했다. 특히 자베르를 보면서 든 생각을 좀 적어야겠다.

 

자비 혹은 기부의 실체란 뭘까. 요즘 기부문화가 대세다. 재능 기부까지. 긍정적인 변화라고 생각하지만 과연 자비심이란 뭘까. 자비는 두 얼굴이다. 자베르는 그 두 얼굴의 전형이다. 자베르는 자비란 없는 절대악인처럼 보인다. 그러나 뒤집어보면 그는 신심이 충만하고 그가 속한 조직에 충성을 다하는 제도권 내에서는 절대선을 집행하는 인물이다. 자베르는 한 사회 내에서 규정한 법과 문화의 관점에서 꼭 필요한 인물이다. 모두가 선과 악의 이분법에 의심하며 고민한다면 세상은 혼돈 속에 빠질지로 모른다. 그는 종교와 법이 정한 이분법에 절대 복종하는 질서정연한 인물이다. 그런데 질서의 원천은 뭔가. 조카를 위해 빵을 훔쳐야하는사회 질서에 다수가 따라야하나. 자베르가 법의 힘을 알았을리 없다. 자베르의 경험은 그를 순한 양으로 칭할 수 있다. 그래서 압잡이가 더 무서운 법다. 법에 절대 복종이란 무자비 혹은 무의식적 절대악와 동의어일 수 있다. 장발장은 자베르와 대립되는 인물이다. 장발장은 법을 어기지만 궁극적인 인간애를 지닌 자비로운 인물이다. 가난으로 고통받는 노동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돕기 위해 법을 어기기도 한다. 법 제도 아래서 그는 늘 범법자여서 도망자 신세다. 그는 제도에 희생자일 수 있는 두  인물 코제트와 마리우스를 살려낸다. 진정한 자비나 기부는 가까이에 있는 이의 고통에 귀를 기울이는 게 아닐까.

 

우리 기부 문화는 좀 왜곡된 면이 있는 것 같다. 기부가 기득권의 덕목이 돼버려서 갖춰야하는 자격조건이 된 기분이다. 기업가만이 아니라 소비자도, 노동자의 고통에는 무자비한 물리적, 정신적 폭력으로 대응하고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선행을 선전하는 행위를 보면서 씁쓸하다. 나는 늘 내가 영화를 보면서 느끼는 연민과 슬픔 등의 공감이 가짜 감정이라 부끄러운데 영화만이 아니라 현실에서도 가짜 감정들이 존재한다. 그래서 혁명과 봉기가 일어난다. 혁명은 많은 순수한 피를 필요로한다.  그네공주님 당선 후 노동자들은 자살로 봉기한다. 바리케이드 뒤에 낙원이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죽음으로라도 혁명의 바리케이드를 지켜달라고 절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