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렌스 맬릭의 첫 장편. 태초에 선과 악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성경에서 말한다. 그럼 선과 악의 경계를 누가 만들었나. 인간이다. 이 영화는 선과 악의 경계를 모르는 주인공의 이야기다. 스물 다섯 살 청년은 열다섯 살 소녀를 사귀게 된다. 소녀의 내레이션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소녀는 자신을 인기없고 별 볼일 없는 평범한 소녀로 묘사한다. 소녀 눈에 청년은 꺼리낌이 없고 자신이 학교에서 공부를 하는 동안 자신의 일을 성실히 하는 사람이다. 청년은 쓰레기를 치우거나(청년의 직업) 가축을 몬다.-청소부를 그만두고 카우보이로 이직을 한다. 그러나 기성세대인 소녀 아버지의 눈에는 소녀와 청년의 계급이 다르다. 다툼이 있어 우발적으로 소녀의 아버지를 살해하고 소녀와 도피 행각을 하게 된다. 살인 후 청년의 관심사는 살아남는 것이다. 지명수배 당하고 있는 자신을 잡으려는 사람은 전부 죽이게 된다. 거대하고 아름답지만 황량한 자연 속에서 청년과 소녀는 그저 생존을 이어나가려는 피조물일 뿐이다. 살인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나 살인 후 심리적 변화를 이 영화에서는 말하지 않는다. 살인은 생존을 위한 선택이다. 청년은 순간적으로 광기를 드러내지만 곧 온순해지며 대체로 무심하다. 마틴 쉰의 분위기는 백치 같으면서도 광인으로서의 면모를 잘 살린다.

 

선과 악은 학습된다. 열다섯 살 소녀에게 선과 악에 대한 학습이 미완성인 상태이다. 소녀 역시 무심하지만 청년을 관찰한다. 청년이 살인 이유를 말할 때 소녀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청년한테 들은 말을 서술한다. 소녀는 청년한테서 선과 악의 형태를 서서히 알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어느 순간, 소녀는 청년을 "덫"으로 표현했으며 어느 순간에 더 이상 청년을 따라가고 싶지 않다고 느낀다. 악에 대한 혐오에서 비롯된 게 아니라 맛 있는 것도 못 먹고 씻지도 못하는 불편함을 그만두고 싶다고 한다. 두 주인공은 카메라가 주로 담는 자연 풍광처럼 아주 평온한 표정이고 내적 갈등보다는 단순한 동기로 행동을 한다. 물질 문명을 떠나 광활한 서부를 달리는 영상도 그들의 행동의 단순함에 한 몫 거든다. 분명히 싸이코패스의 이야기지만 요즘 영화에서 보이는 싸이코패스의 기괴함은 없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싸이코패스의 이상 행동은 재미를 위해 설정해서 고착화시킨 작업을 통해 전형화됐다. 이 영화에서 청년의 행동은 살인 하는 순간을 제외하면 성실하고 심지어 친절하기까지 하다. 인간의 행동 방향을 결정하는 원동력은 단순한 동기에서 출발하는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