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연대기 - 은유, 역사, 미스터리, 치유 그리고 과학
멜러니 선스트럼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2010년 8월, 어느 날 아침 일어났더니 목이 안 돌아갔다. 잠을 잘 못 자서 그런게지 하고 파스를 삼 일 정도 붙였다. 삼일이란 시간은 목 근육이 다시 움직이는데 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목을 옆으로 돌릴 때는 물론이고 바닥에 있는 물건을 집기 위해 팔을 뻗어도 목의 통증은 계속 됐다. 단순 근육통이 아닌 것 같아 동네 정형외과에 갔더니 디스크라며 목에 신경주사를 줬다.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아 목만 아픈 게 아니라 허리까지 아픈 총체적 난국으로 접어들었다. 디스크 전문병원, 한의원을 다니며 침을 맞았지만 목 통증은 허리 통증을 친구라도 삼으려는지 둘이 번갈아서 찾아왔다. MRI결과,목도 허리도 퇴행성으로 건강한 사람보다 근육이 없긴하지만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했다. 그런데 불쾌한 통증은 종종 찾아왔다. 목에 혈액 순환이 잘 안 돼서 그런지 심한 어지럼증으로 한동안 고생을 했다. 몸이 아프니 모든 일에 에너지가 생기지도 않고 일 할 때 빼고는 식물인간처럼 누워서 지내는 시간이 길어졌다. 극장에 두 시간을 앉아있는 것도 힘겨울 정도였다. 뭐가 문제인지 나는 궁금했다. 의사들이 한결같이 자세가 나빠서라고 말해서 자세를 고치려 애썼고 밤에 자면서 자는 자세까지 신경쓰게 되었다. 한의사는 몸이 허약하니 몸을 보해야한다고 해서 체중을 늘리려고 애썼다. 시간이 흐르면서 완치란 개념보다는 몸을 관리한다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어서 지금은 더 이상 나빠지지 않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요즘은 팔도 쑤시고 엉덩이와 고관절도 뻐근하다. 통증이 더 가까이 있는 것 같기도 한데 내 통증의 뿌리를 설명할 수 없어 답답했는데 이 책이 눈에 띄었다.

 

이 책의 저자 역시 경추에 문제가 있어 관절염, 회전골개근 염증 등등으로 통증과 8년간 살아온 사람이다. 자신의 통증 때문에 통증을 공부하고 통증에 관한 책을 냈다. 요약하면 이렇다. 통증은 인지 영역이다. 그래서 MRI상으로 경추나 척추의 마모나 손상정도가 비슷해도 인지하는 통증의 정도가 각각 다르다. 통증은 뇌 신경과 관련이 있어서 생물학적, 유전적, 정서적 이유로 신경이 반응하는 걸 자각하는 증세다. 따라서 개인마다 통증의 강도가 다르다. 현대의학으로 알 수 있는 신경기능의 범위는 지극히 제한적이라고 한다. 가령 디스크가 나와 신경을 압박할 경우, 수술로 디스크를 잘라주면 압박 받았던 신경은 더 이상 압박하지 않아 통증이 없어지만 디스크 주변의 신경이 다른 신경을 건드리거나 자라서 섞일 수 있다. 그래서 처음 아팠던 곳이 아니라 다른 곳이 아플 수 있다. 그러니까 디스크 수술은 어떤 특정 부위의 통증만을 경감시킬 수 있는 아주 제한적 수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디스크 수술을 해도 얼마 지나면 다시 통증을 호소하는 이유기도 하다. 뭐 이런 원리를 알게 되었다.

 

통증을 달고 사는 많은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저자 본인의 경험, 인류학적 관점과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요모조모 서술한다. 내 관심사는, 그래서 통증은 어떻게 끝내나, 였다. 책이 어떻게 끝맺을지 궁금했다. 통증은 인지에서 온다는 말은 많은 생물학적 사실과 심리적 현상을 내포하고 있다. 신체는 통증을 억제하는 물질(엔돌핀등등 같은)을 자체적으로 생산한다. 그러나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솔이 분비되면 엔돌핀 같은 유익한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는다. 만성 통증을 앓는 사람은 위약효과(플라시보)에 걸리지 않을 확률이 높다(심리적으로 의사나 약의 성능을 믿지 않기 때문에). 그래서 같은 약을 써도 사람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내가 나아갈 길은-_-;,

자주 스트레칭하는 걸 포함해서 근력 운동으로 근육을 키우고 단백질 섭취 강화(근육이 단백질로 이루어지므로), 천연 진통제인 엔돌핀 분비를 위해 스트레스 받지 말고(절대 쉽지 않지만) 가끔 약이나 침을 이용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