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바웃 케빈 - We Need to Talk About Kevi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틸다 스윈톤이 나온다. 틸다 스윈톤은 참 묘한 매력의 소유자시다. 화장기 하나 없이 지치고 주름도 깊은 얼굴에 흔들리는 눈동자까지 겸비해서 초췌한 모습을 보여주시는가 하면 립스틱만 살짝 발라도 얼굴이 화려해진다. 게다가 어떤 옷을 입어도 자기 것으로 만들어버린다. 헐렁한 바지와 셔츠같은 작업복을 입으면 원래부터 그런 옷만 입었던 사람같다. 그러나 여성스러운 실크 원피스를 입는 순간 우아함이 머리부터 발끝까지 지배한다. 이 모두 한 사람이라니 믿어지지 않는다. 이 영화는 틸다 스윈톤의 A부터 Z까지 발견할 수 있는 영화이기도 하다. 극중 캐릭터가 굴곡있는 인물이라 성격 변화 폭이 큰데 틸다 스윈톤이 변하는 폭의 넓이와 깊이기만 바라봐도 영화 내내 시간가는 줄 모르겠다.
그리하여 영화 보고 나서 검색을 좀 해 봤더니 원래 모델이었다고 한다. 키180cm! 뭘 입어도 아우라가 풍기는 게 일반인이 아니다. 얼마전 단색 머플러를 사려고 인터넷을 좀 뒤졌더니 수긍할 수 밖에 없는 말을 만났다. 머플러가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 문제라고. 같은 머플러를 간지 나게 매는 사람들 보면 고개를 숙이게 된다.ㅜ.ㅜ 아무튼 틸다 스윈톤은 뭘 갖다줘도 간지나는 스타일인데다가 표정도 연기도 한 간지 하신다.
2. 초췌하고 불안하게 멍한 시선으로 등장하는 에바(틸다 스윈톤). 영화 전체는 피를 상징하는 붉은 이미지로 가득차 있다. 첫 장면도 토마토 축제로 시작한다. 온 몸에 붉은 토마토 즙이 뿌려지고 에바는 어떤 행동도 취하지 않고 축제 관객들의 손에서 손으로 누운 채 옮겨진다. 일상도 조각조각 드러난다. 지나가는 행인에게 뺨을 맞고 욕설을 들어도 그녀는 당황하지만 화를 내지도 저항하지도 않는다. 같이 일하는 동료들조차 그녀에게 무관심하거나 냉담하다. 그녀의 과거가 도대체 어땠길래,로 이어진다. 집에서도 쉴 수 없는 건 마찬가지. 악몽같은현재 사이에 플래쉬백이 이어진다.
케빈이란 아이의 엄마가 된 에바. 자상한 남편과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에서 케빈은 엄마와의 관계가 좋지 않다. 케빈의 내재된 폭력성은 유전적이거나 환경적인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흔히 말하는 싸이코패스의 어린 시절인데, 이 영화는 서술 관점이 다르다. 콜럼바인 고등학교에서 있었던 총기 사건을 소재로 하지만 기존의 영화들과는 많이 다르다.
많은 매체들이 싸이코패스의 기괴한 행각에 초점을 맞춘다면 이 영화는 싸이코패스의 가족, 특히 모성 혹은 엄마한테 초점을 맞춘다. 어린 시절 케빈의 폭력성은 유독 엄마에 대한 반항심으로 나타난다. 병원에서 생물학적 이상이 없다는 말에 엄마는 케빈의 폭력성을 자신의 탓으로만 돌리는 경향이 있다. 모든 엄마는 이성이 없다, 는 말이 저절로 떠오른다. 모성은 아이의 폭력적 성향의 심각성을 간과한다. 아이의 폭력성이 치료를 받을 단계라는 걸 어느 누구도 인식하지 못한 채 그저 좀 난폭한 아이라고, 부모는 여긴다.
그러나 부모가 양육하면서, 그리고 아이가 사고를 친 후에 겪는 후 폭풍의 고통은, 실제로 아이보다도 더 클 수 있다. 소년원에 있는 아들한테 엄마는 묻는다. 왜 그랬니?하고. 아들은 대답한다. 전에는 이유를 안다고 생각했는데 왜 그런지 모른다고. 이제는 살인자가 된 아들. 엄마는 아들이 불편하지만 여전히 사랑한다. 엄마가 아들을 사랑하는 일이, 자신이 살인자인처럼 사람들이 취급해도 불평없이 겪어내야 하는 일이 돼버린다.
희망없는 아이와 그 아이를 지켜봐야하는 엄마의 운명. 아이의 감정없는 말은 엄마의 앞으로의 삶도 가망없다는 걸 암시한다. 엄마에게 형벌로 다가온 아들이지만 버릴 수 없는 천륜의 끈을 보게 한다. 답이 안 나오는 문제 제기다. 그래서인지, 케빈에 대해 얘기 좀 해보자, 다. 제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