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캔자스 시티 - Kansas Cit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934년, 캔자스 시티를 배경으로 만 하루동안 일어난 일을 그린다. 헤이헤이 클럽에서는 영화내내 재즈가 울려퍼진다. 흑인 갱단의 아지트기도 하지만 대공황 당시 캔자스 시티는 번영했다고 한다. 마약, 술등 검은 돈에 개방한 정책 도시라고 하는데 감독은, 캔자스 시티 출신으로 당시의 시대 분위기를 영화 속에 촘촘이 짜냈다고 한다. 헤이헤이 클럽 장면은 귀도 흥겹고 눈도 흥겹다. 밖에서 사람이 죽어 개 밥이되든, 안에서 보스가 뭘 하든 색스폰 연주자들은 색스폰을 부는데 열중하고 피아니스트는 피아노에만 춤을 추는 이는 음악에따라 몸을 열심히 움직인다. 클럽 안은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으로 넘실거리며 흥에 겨운 사람들의 움직임과 섞인다.
걸쭉한 재즈 선율과 달리 줄거리는 섬뜩하다. 흑인 갱한테 잡혀간 남편을 구하기 위해 대통령 고문의 부인을 블론디가 납치한다. 납치범 블론디가 인질 캐롤린을 데리고 다니면서 동네를 한바퀴 돌면서 캔자스 시티의 이모저모가 퍼즐조각처럼 드러난다. 주유소, 극장 밖, 두 여인의 의상은 에드워드 호퍼 그림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다. 호퍼의 공간이 공허와 쓸쓸함으로 채워졌지만 영화 속 공간은 계급과 인종에 대한 차별, 선과 악의 혼재, 부정한 선거와 정치 부패로 채워진다. 알트만 감독이 주로 다루었던 주제들로 두 여인의 동선을 따라 배경으로 차오른다.
흥미로운 건 납치범 블론디와 인질 캐롤린의 관계다. 블론디는 로맨티스트로 사랑하는 사람은 자신의 장기 기관의 일부라고 여긴다. 캐롤린은 백인 상류층이고 짐작건대 공허함 때문에 아편중독자가 되었을 터라 블론디의 사랑에 대한 절대적 신뢰에 몽롱한 눈빛을 보낸다. 두 사람은 닮은 구석이라고는 전혀 없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친구처럼 대화를 주고 받는다. 나중에 캐롤린은 오히려 대화 상대자들을 만나 즐거운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블론디는 납치범으로서 마음가짐도 점점 희미해지면서 자신의 속마음을 캐롤린에게 털어놓는다. 잠시 두 사람은 진짜 친구가 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캐롤린으로 대표되는 기득권층은 친구도 기회가 닿으면 죽일 수 있는 법이라고 말하는 것같다. 캐롤린은 블론디를 죽이고 냉랭한 얼굴로 유유히 블론디의 집을 빠져나온다. 헤이헤이 클럽에서는 아무일 없다는 듯이 여전히 재즈 가락이 울려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