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트리스 - Restles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내가 너무나 좋아하는 거스 반 산트 님의 영화다. 거스 반 산트 감독은 잡히지 않은 심리를 포착해서 구체화하는데 능하다. 구글 검색으로 몇 건의 인터뷰를 찾아보니, 영화를 만드는 과정이 즉흥적이다. 코엔 형제가 쓴 시나리오를 보면 빛의 각도까지 이미 설정한 채 촬영하는 것과는 아주 대조적이다. <게리>를 제작한 동기를 보면, 옆 집에 벤 애플렉이 살고 맷 데이먼은 자주 자기 집에 놀러왔다고 한다. 그래서 함께 영화를 찍게 됐다고. 거스 반 산트 감독한테 나름의 경애심을 지니고 있던 터라 영화 제작 동기를 읽고 나니 살짝 허무해지기도 했다. 비장한 일상이나 감정보다는 세 사람이 수다 떨다가 시나리오 쓰고 촬영한 영화라니!

사실, 모든 결과가 구체적이어서 그렇지 모든 일은 시작 단계에서는 즉흥적이고 추상적일 수도 있다. 우리가 결과 지향적이라 과정도 계획적일거라고 단정해버려서 오해를 하는 것일 뿐.. 이 영화도 NYU 학생 시나리오로 작업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그 뭐랄까..영화를 보면서 내가 기대하고 갔던 산트 님의 감수성이 아주 없다고 할 수 없지만 어쩐지 산트 님이 잘 다루는 근원적 고통보다는 순정만화처럼 고통이며 행복이 추상이 아닌 피상적으로 표현된다. 그렇다고 영화가 형편 없는 건 결코 아니다. 신파로 흐를 수 있는 서사를 어떤 영화적 장치들로 극복해 내는지 지켜보는 재미가 있다. 결론은 거스 반 산트 감독은 어떤 이야기도 영화로 만들 수 있는 초능력자시다. ㅎ 

영화 이야기를 하면, 교통사고로 부모를 잃은 소년이 있다. 소년은 학교도 그만두고 트라우마를 간직한 채 유령과 소통하며 지내다 어느 날 한 소녀를 만난다.  소녀는 뇌 종양이 재발해 살 날이 3개월 밖에 안 남았다. 소년 소녀는 가만히 있는 것만으로도 자체 발광하는 나이인데 각자의 아픔을 받아들이는 자세는 조금 다르다. 소년이 칩거한다면 소녀는 밖으로 적극적으로 나선다. 아주 강렬하고 애틋한 사랑으로 서로는 조금씩 변한다. 죽음에 대해 두려움을 잊고 상처에 딱지가 생겨 단단한 새살이 돋아난다. 사랑하는 사람이 이 세상에 없어도 추억만은 마음 속에 남아 미소짓는다는....이런 이야기인데 두 배우가 정말 만화 속 주인공들처럼 늘씬하고 아름답다. 아쉬운 건 느낌은 없고 아름다움만 남는 영화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