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연인들 - Regular Lover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베루톨루치 감독이 <몽상가들>에서 68혁명을 낭만적으로 스크린에 담은 데 대한 프랑스 감독의 항의라고나 할까. <몽상가들>에도 나왔던 루이 가렐이 똑같이 등장하지만 같은 소재인 두 영화는 전혀 다른 색조다. 2004년작이란 정보를 접하고 영화를 보기 시작했는데 영화 중간에 이 영화 60년대에 만들어진 건가, 하고 착각할 정도로 60년대 분위기를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아무래도 주인공도 같으니 <몽상가들>과 비교를 안 할 수 없다.  

<몽상가>가 뮤직 비디오처럼 예쁘고 소비사회에 알맞는 향수를 부추긴다면 필립 가렐이 만든 <평범한 연인들>은 68이란 시대정신이 저항한 소비사회의 미덕은 모두 제거했다. 낡아서 삐걱 소리가 나고 두 사람이 앉으면 답답할 정도로 좁은 스튜디오에서 인물들을 주로 클로즈업이나 미디엄 쇼트로 잡는데 영화는 계속 긴장감을 준다. <몽상가>들에서는 시위장면에서 조차 파리의 거리는 고풍스러운 배경으로 스펙터클화 되지만 이 영화는 파리의 아름다움 보다는 파리의 일상성에 주목한다. 벽과 골목에서 종종 스틸사진처럼 카메라가 정지하지만 어느 도시에서나 볼 수 있는 벽과 골목으로 일반화해 버린다. 감독은 파리가 이방인들에게 향수와 이국적 상품으로서 소비되는 걸 거부라도 하는 것같다. 아름다운 파리 거리 좀 보여주지, 이렇게 야박하게 장소를 익명화하다니...이방인한테는 좀 아쉽다.  

우리한테는 너무나 익숙한 장면으로 영화가 시작한다. 시위 장면인데 어둠 속에서 차량이 뒤집어져 있고 차 뒤로는 불길이 보인다. 시위의 격렬함이 소란과 역동성이 아니다. 두 서너명의 경찰과 두 세사람의 시위 학생의 실루엣으로 프레임 안에 또 프레임이 있을 거란 확신을 심어준다.  한 시위학생인 프랑스와는 경찰한테 잡히지 않으려고 도망을 치는 이야기가 한 시간 가량 이어진다. 프랑스와의 심리 상태를 따라서 지붕 위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나면 프랑스와가 릴리를 만나 헤어지는 이야기가 두 시간 동안 지속된다.  

5월 이후에 시대정신은 프랑스와란 개인의 삶을 통해 드러난다. 뚜렷한 목적 없이 친구들과 어울리며 부자 친구가 대 주는 아편을 피우고 모임에서 어슬렁거린다. 릴리란 여자친구를 사귀면서 프랑스와의 내적 갈등은 서서히 드러난다. 릴리는 눈 앞에 닥친 집세를 걱정하고 미래를 위해 기성세대 질서로 들어갈 것인지 고민한다. 프랑스와는 릴리의 고민을 부정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패배감 탓에 무기력하다. 릴리를 잡을 수도 릴리에게 무언가를 제안할 수도 없게 의기소침하다. 릴리는 알 턱이 없고 시간은 흐르고 친구들도 시간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는지 앞으로의 일을 조금씩 말하기 시작한다. 릴리를 잡고 싶지만 고작 할 수 있는 일이라곤 방문 열쇠를 베개 밑에 숨기고 질 좋은 아편에 불을 정성스럽게 붙이는 정도다.

프랑스와는 시를 쓰지만 시가 위안인지는 모른다. 어떤 것에도 애착을 보이지 않는 척하는 태도는 결국 자신을 옥죄고 고민을 피하고 하는 심리는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으로 이끈다.  


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