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 - The Silenc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잉마르 베리만의 영화를 보고 감상을 남기는 게 사실 불가능하다. 영화가 하나의 주제로 명확히 표현되기 위한 연속성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한 줄로 요약할 수 있는 게 최소한의 서사가 아주 없진 않지만 서사가 무의미한 게 베리만 영화다. <침묵>굳이 말하라면 어긋난 자매애 혹은 한 비극적 가족사쯤 될 수 있지만 느낌만 있을 뿐이다.<늑대의 시간>도 같은 범주에 묶을 수 있을 것 같다. 남편과 헤어진 한 여자의 이야기다. 남편의 트리우마와 무의식과 의식의 혼재 속에서 결국 영적으로는 헤어진다. 이 느낌의 실체도 열심히 영화를 보면서 무언가를 찾아내야한다는 강박 관념때문에 머리를 굴린 탓이다. 영화들은 굉장히 추상적이다. 추상적 텍스트는 여러가지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놓기는 하지만 왜 꼭 해석을 해야하나, 하는 피곤함이 몰려오기도 한다.-.-   

인물을 클로즈업할 때 사용하는 카메라 앵글의 다양성은 인물들을 살아있는 인간이 아니라 카메라를 위해 존재하는 것 같았다. 인물들이 주는 인상이 강렬하고 진지해서 영화를 보는 내내 진지해질 수 밖에 없다. 인물들의 의식과 무의식을 구별하려고 애쓰다보면 부질없어지는 순간이 도래한다. 그럼 베리만의 추상적 메시지들은 그냥 추상적으로 받아들이면 되지않나...
 

인간의 의식은 명료하지않다. 말이나 이미지같은 수단들을 통해 모호함을 명료하게 바꿀 수 있을 거라는 상식은 상식일 뿐이다. 실제로 우리의 의식이나 무의식은 섞여서 그물처럼 엉킨다. 스크린을 보면서도 영화보고 난 후 자장면 먹을 생각에 자장면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다. 인간의 뇌는 고차원적 멀티 기능을 장착하고 있다. 형이상학적 생각만 하는 게 아니라 형이하학적 생각도 동시에 할 수다. 어두운 영화관에서 짬뽕 이미지가 불쑥 튀어나오는 게 말이 안 되지만 실제로 우리 의식이 하는 일이다. 

베리만 영화 속 인물들은 우리가 가진 멀티 기능보다 더 사양이 높은 기능을 장착하고 있다. 이전 장면에서는 아내한테 총을 쏘고는 다음  장면에서는 아들인지 아니면 어린 자신이지와 몸싸움을 하고 있다. 아들 혹은 어린 자신 같은 어린 남자아이의 공격에 분노해서 소년을 죽인다. 그뿐이다. 소년과 남자의 관계도 모르고 남자가 살의를 느끼는 이유도 모른다. 또 실제인지 단지 남자의 생각인지도 알 수 없다. 알 수 있는 건 남자가 분열적 행동이 영화 내내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켜보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