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 다빈치 art 18
J.M.G. 르 클레지오 지음, 신성림 옮김 / 다빈치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미술책이라기 보다는 르 클레지오란 저자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프리다 칼로와 디에고 리베라의 전기글 쯤 된다. 그림은 그냥 부록이고. 그림책을 살 때, 구매 심리는 화가의 일생만을 원하는 게 아니라 플러스 알파를 얻기를 기대한다. 일생은 좀 간략하고 그림을 보는 각도를 얻고 싶을 때 그림책을 산다. 물론 내 경우에.  

그림 읽어주는 책, 혹은 화가에 관한 책을 독자 마음에 들게 쓰는 일은 소설 쓰는 일보다도 어려운 것처럼 보인다. 그럼 난 그림 분석을 원하는가. 그렇진 않다. 그림을 분석만하는 책은 상상력을 방해하고 금방 지루해진다. 일대기와 그림 분석이 적절한 비율로 섞여 어우러진 책을 원하는 거 같다. 이 책은 이런 내 구매 심리에 전혀 부합하지 않은 책이다.;;  프리다 칼로와 디에고 리베라의 일대기가 심층적이지도 않고 비슷한 말을 반복한다. 자료수집 부족일 거 같기도 하고.ㅋ 전기문이 그렇지만 작가의 절대적 상상력을 요구하는데 실제 인물 이야기를 풀어가는데 르 클레지오의 상상력은 부실하다.   

그만 투덜거리고, 

프리다가 주로 자화상을 그렸는데 그 이유는 늘 병마와 싸우느라 침대에서 보낸 시간이 많았기 때문이다. 4,5월은 가벼운 교통사고와 저질 체력이 감당 못해 큰 후유증으로 이어져 사경까지는 아니어도 밤 잠을 설친 날이 많았다. 체력은 급저하되고 한약으로 연명하는 시간을 보냈다. 머리는 혼미해지고 밥 맛은 없고 독서가 왠 말이냐, 극장도 못 가고, 커피도 끊고 맥주도 끊는 아주 암울한 두 달을 보냈다. 커피와 맥주가 없는 삶을 살려니 죽을 맛이다. 책은 주문만 해 놓고 쌓아놓기만 했다. 방전된 체력으로 무얼 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닌 걸 깨닫고 있을 때 프리다 칼로의 이야기를 읽었다. 오랜 투병 생활 중에서도 틈틈이 그림을 그리다니 평범한 사람이 아니다.  

프리다 칼로의 그림들은 아름답지 않다. 나는 일반적으로 혹은 객관적으로 아름다움을 묘사한 그림에 끌리는 단순한 관객이다. 그러나 서경식 씨가 말했듯이 왜 아름다움만 그림의 대상이 돼야하나. 추함이나 고통 또한 그림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프리다 칼로의 그림은 고통을 그린 것이고 그 속에 말로 표현하기 힘든 힘이 꿈틀댄다. 조각난 신체 부위를 널어놓는다거나 피가 여기 저기 있는 그림은 말보다도 몇 만 배는 강력하게 말하고 있다. 그녀가 얼마나 고통스러웟는지. 약한 몸으로도 그림을 그릴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고통을 표현하는 유일한 수단이 그림이었는지도 모른다.  

대부분의 예술은 예술가의 행복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예술가의 고통에서 탄생한다. 칼로한테 고통은 그림의 원동력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sy 2014-12-08 2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도 지금 이 책을 빌려서 읽고 있는데요, 읽다보니까 비슷한 말을 자꾸 반복하는건 사실이더라고요. 중간중간 그림에 대한 설명이 나오기는 하는데, 글과 그림이 따로 있어서 그림에 대한 이해가 아쉽달까요. 아무튼 이 책과 관련된 검색을 하다가 우연히 들려 공감하고 가게 되네요.

넙치 2014-12-14 21:35   좋아요 0 | URL
비루한 기억력 탓에 희미하게만 기억이 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