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안에서 - 1%의 차이가 만드는 좋은 사진과 나쁜 사진 프레임 안에서 1
데이비드 두쉬민 지음, 정지인 옮김 / 정보문화사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서점에 들렀다 글보다는 사진이 너무 좋아서 주문했다. 사진 찍을 때 피사체한테 가져야할 태도를 말한다. 내게는 기술적인 책은 무용지물이다. 주로 여행갈 때만 사진을 찍는데다 무엇보다도 무거운 카메라 장비를 취미삼아 지니고 다니기에 나는 심한 저질체력인데다 의지도 없다. 내게는 기동력있는(?) 작고 가벼워서 들고다니느라 수고스럽지 않는 똑딱이가 최고다. 물론 다른 사람들이 망원렌즈를 써서 찍은 사진들이 부러울 때도 있고 내 똑딱이가 할 수 없는 단점이 클 때도있다. 나름 수동기능이 있는 똑딱이지만 다른 사용자들이 칭찬하는 수동 기능보다는 주로 자동 프로그래밍을 사용한다. 프로그래밍된 기능은 나보다 초점도 잘 맞추고 알아서 감도도 조절한다. 나는 그저 프레임 안만 채우면 된다.  

이 책은 피사체에 접근하는 법부터 피사체에 부족한 노출을 보정하기 위해 장비뿐 아니라 주변 환경을 이용하는 법을 알려준다. 그리고 카메라광과 사진에 열정이 있는 사람을 살짝 구별한다. 사진에 열정이 있다보면 카메라광이 되는 과정으로 이르겠지만 나만의 여행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광이 될 필요는 없다. 여행사진은 먼저 자료조사에 있다. 그 도시에 대한 인상을 빨리 포착하기 위한 자료한 도시의 색채, 도시의 아이콘, 그리고 아이콘을 찍은 기존의 사진들을 봐 두고 그 아이콘을 직접 봤을 때 기존의 사진들이 담지 않은 부분을 담아보는 게 자신만의 여행사진을 갖는 방법이다. 인물은 대체로 망원이 좋다는 건 통념이고 광각으로 인물과 배경의 유기적 관계를 어떻게 담아낼 수 있나, 이 책을 일독한 후 최대의 수확이다.   

나는 대체로 도시에서 아이콘들보다는 벽에 미친듯이 반응을 한다. 갈라진 벽, 페인트 칠이 벗겨진 벽...여행 후 모니터에서 보면 나는 왜 이렇게 벽을 찍어대나..엄마는 내 사진을 보다 지루해서 다 못 본다. 벽만 있다고.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