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느와르 - Café Noi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장장 3시간 18분이라는 런닝타임을, 극장에 가서야 알았다. 정성일씨의 장황한 글처럼 영화도 장황할 것이며 재미없을 거라고 단정했다. 중간에 두 번쯤 졸고 화장실도 갔다오고...그래서 그런지 영화는 기대했던 것보다도 지루하지 않았으며 재미있기까지 했다. 

프랑스 영화사에 누벨 바그 시절이 있다. 1960년대 평론을 하던 감독들이 영화에 대한 잡담이나 한다는 말에 발끈해서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뛰쳐나왔다. 영화는 카메라로 쓴 문학작품을 직접 보여주겠다는 참 고마운 발상이었다. 이들의 영화는 당연히 문학 작품에 많이 빚지고 있으며 소설 속 대사를 카메라로 비추거나 등장 인물들이 대사를 그대로 말한다. 당시 감독들은 영화광일 뿐 아니라 하드보일드 장르의 미국문학이나 프랑스 고전 문학을 탐독했다.  

1.  

정성일 씨가 각본을 쓰고 연출한 이 영화는 프랑스 누벨 바그 시절의 영화를 떠올리게 한다. 학작품에서 그대로 가져온 대사들, 서울 한복판 거리를 배회하는 카메라. 카메라를 통해 본 익숙한 서울 풍경은 이 영화에서 단연 돋보인다. 청계천부터 종로 거리를 쭉 트래킹하면서 광장시장, 평화시장의 겉을 훑는다. 그림자가 늘어지는 시간, 일몰 직전의 노르스름한 빛 속에 앉아 있는 익숙한 서울은 아주 아름다웠다. 뉴욕이나 파리가 아름다운 도시로 자리잡은 이유는 영화가 단단히 한 몫 한 게 아닐까. 네러티브보다 뉴욕이나 파리의 골목 자체가 빛나는 영화가 많다. 센트럴 파크의 아찔한 단풍이나 거리, 파리의 이름 모를 골목 때문에 영화를 보기도 했다. 돌이켜보건대, 서울이라는 풍광 때문에 영화를 기억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홍상수 감독 속에 나온 서울은 서구인의 시선을 끌기 위한 스펙터클이었으며 <괴물>이나 <추격자>에 나온 서울은, 서울의 정체성이 필요없는 공간이었다.  <카페 느와르>에서 서울은 인물보다도 더 주인공같다. 인적 드문 청계천 한쪽 면은, 세느 강변 같고 카메라가 쭉 트랙킹하는 종로 길가는 마치 뉴욕 같다.  

2.  

영화광이며 독서광이 만든 영화답게 영화는 "인용구"로 가득 찬 영화이다. 키에슬로브스키의 <블루>의 한 장면도 보이고 레오 까락스의 영화에서 보는 공간을 압축한 이미지도 엿보인다. 물론 <극장전>, <괴물>, <올드 보이> 등 한국영화를 영화 속에서 이야기 하기도 한다. 영화를 본 이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지점이기도 하다.   

나는 인용구에 상당한 신뢰와 애정을 보내는 편이다. 어떤 글이나 영화를 보고 무언가를 인용한다는 행위 속에는 인용한 사람의 주관과 시선이 들어가 있다고 여긴다. 같은 글을 읽고도 다른 인용구를 기억하는 일이 그 증거다. 게다가 인용구들로만 자신의 주장을 하는 이도 있는데(강준만 씨의 글이 대체로 그렇다) 머리 나쁘면 절대로 할 수 없는 일이다. 자신의 목소리를 주장하는 것보다도 어쩌면 더 어려운 일일 수도 있다고 본다.  

아무튼, 영화 속 영화를 보는 잔재미도 쏠쏠하다. 

3.  

정성일 씨 인터뷰를 보니 문학작품 속 글을 살아있는 인물들이 발화했을 때 느낌을 알고 싶었다고, 한다. 결과는 썩 좋지 않다. 이 영화가 형편없지는 않지만 좋은 영화라고 분류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인물들이 죽었기 때문이다. 영화와 문학의 가장 큰 차이는 방향성에 있는지도 모른다. 문학이나 영화에서나, 작가나 감독의 목소리를 해석하는 건 전적으로 독자나 관객의 몫이다. 문학 속 인물은 적극적이기 보다는 작가의 필요에 따라서만 움직일 때가 많다. 반면 영화는 감독의 관점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두 시간 동안 대체로 살아있다. 인물만 떼어놔도 할 이야기가 있는 게 영화다. 그런데 <카페 느와르>에서 인물들은 서로 소통하지 못한다. 서로 주고 받는 대사가 아니라 이미 쓰여진 글 중에서 읽고 싶은 부분만 읽기 때문에 서로 주고 받지 못한다. 인물들이 하는 유의미한 말을, 관객은 당연히 무의미하게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인물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말만하고 사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뭐, 현대 사회에서 익숙한 일이긴 하지만 소통을 원해 영화를 보는 관객한테는 일종의 좌절감마저도 줄 수 있다.  

인물들은 각자 진지한 사연을 지니고 있지만 듣는 이들은 귀담아 듣질 않는 것처럼 보인다. 실연에 관한 이야기의 속성이 자신한테는 심각하지만 제 삼자한테는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릴 수 있는 대동소이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인간이 인간에게 보여주는 관심과 애정의 문제처럼 보인다. 자신의 얘기만 하는 사람은 주변에 널렸으니 남의 얘기에도 귀 기울여주는 배려심 있는 인물을 영화에서는 기대하게 된다. 영화를 보는 심리기도 하고.  

4.  

이렇게 할 말이 많은 거 보면, 이 영화는 내가 생각하는 것 보다 더 괜찮은 영화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