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를 융, 기억 꿈 사상 - 카를 융 자서전
칼 구스타프 융 지음, 조성기 옮김 / 김영사 / 2007년 12월
평점 :
누군가의 자서전을 읽는 데는 당연하지만 기본적으로 그 사람에 대한 애정이 있어야한다. 융에 대한 애정이 있나, 하면 그렇진 않다. 그래서일까 아주 지루해서 읽다가 말았다. 스물 두어살 무렵 프로이트와 융을 읽으면서 수첩에 그들처럼 꿈을 기록했지만 꿈을 해석하는 능력은 없었다. 그저 그들이 꿈을 기록한 게 멋져보였던 거 같다. 프로이트를 읽으면서 가지 없는 나무들이 많이 서 있는 비탈을 많이 올라가는 꿈을 꾸었다. 모두 성적으로 관련시킨 프로이트의 해석을 읽으면서 내 내면에도 호색가의 기질이 있는가, 하면서 부끄러워했었다. 지금 생각하면 맹한 짓이었는데.
융 역시 꿈 이야기에만 관심이 있다고 얘기하면 무덤 속에서 융이 벌떡 일어나 소리칠 거 같다. 고결한 무의식의 세계를 그렇게 밖에 말 못하냐고. 이 책이 지루한 이유는 바로 이거다. 융은 무의식을 탐구하느라 우리가 실제로 인식하는 현실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현실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단서를 찾느라 무의식에서 산책을 하는데 융 자신은 즐겁겠지만 무의식, 그것도 남의 무의식을 함께 거니는 건 인내심을 많이 필요로한다. 꿈이 할리우드 영화도 아니고 지극히 말도 안 되는 일련의 이야기 속에서 단서들을 찾는데 미치지 않으면 하기 힘든 일이다.
한 가지 흥미로웠던 부분은 프로이트와의 관계였다. 융은 프로이트에 대한 존경심을 잃지 않은 것처럼 비춰지고 싶어했지만 그의 무의식은 프로이트를 싫어한다고 말한다. 프로이트는 융을 라이벌로 보았고(융의 표현 속에서 드러난다) 융은 프로이트의 그런 제스처를 못마땅해한다.
또 하나의 흥미로운 에피소드는 한 노파다. 다리가 아팠던 이 여인은 얘기를 하다가 말짱하게 걸어나갔다고 한다. 융은 정확한 원인을 몰랐지만 여인은 자신이 아팠던 이유를 말하다 알았던 거다. 심리학이 왜 말하는 행위 자체를 중요시하는지 말해준다. 실제로 말하다보면 자신도 모르는 걸 발견하고 치유가 되는 과정이다. 굳이 전문가한테가 아니어도 퇴근후 집에 바로 안 가고 술집이나 카페에 앉아 수다를 떠는 행위는, 우리의 무의식을 발견하는 우리만의 방식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