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벤션 오브 라잉 - The Invention of Lying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로맨틱 코메디의 결말이나 과정은 늘 예측가능한데 왜 보나? 예측가능성의 다른 표현방법 때문이다. 이 영화를 코미디로 만드는 장치는 거짓말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에서 시작되는 데 있다. 타인에게 순간의 생각을 솔직히 말하는 게 관습이고 당연한 사회가 있다. 사람들은 늘 상처 받기 때문에 희망이란 말을 모른다. 모두 진실만을 말하는 세계는 암울했다. 루저는 계속 루저고 이기적 유전자 소유자들은 거만하기 이를데 없다. 도둑도 그 자리에서 체포되지만(도둑이 있는 게 의아하지만) 정의와 평등이 존재하는 것 같진 않다.
그러다 죽음을 앞둔 엄마의 두려움을 위로하기 위해 통념상 루저인 아들은 거짓말을 한다. 사후 세계는 행복만 있다고. 세상은 발칵 뒤집히고 그는 저 바닥의 루저에서 초고속으로 성공이란 사다리 꼭대기에 올라간다. 곤경에 처한 사람한테 따뜻한 말 한마디의 힘이 그를 성공으로 이끈다. 꽤 흥미로운 지점들이 눈에 띈다. 그가 말도 안 되는 거짓말을 늘어놓은 영화들은 사람들을 웃게 하고 대박이난다. 영화같은 예술장르는 인간의 잉여감정을 위로하기 위한 것이고 비관적 세계를 낙관적으로 돌려놓기 위한 인간의 자구책일지 모른다. 신이 인간의 영역을 창조한다고 가정한다면 인간은 인간 시뮬레인션 상황을 창조해서 현실에서 못마땅한 부분을 개조해버린다. 단 두 시간 뿐일지라도 현실과 다른 세상은 희망적으로 보인다.
영화는 신의 존재가 없는 사회를 배경으로하는데 하늘에 있는 그 누군가의 존재를 믿기 시작하면서 자신에게 일어난 불운과 행운을 자신의 의지가 아닌 그 무언가 탓으로 해석하려고 한다. 행동의지나 동기에 대한 타자의 시선을 인간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일까. 좋든 싫든 자신만이 알 수 있는 것을 타자의 확언을 듣고 싶은 욕구가 근본적인걸까, 하는 의문이 남는 영화지만 심각한 영화는 물론 아니다.
영화는 시종일관 유쾌하다. 못생겨도 예쁜 아내를 얻을 수 있다는 결말이다. 단, 못생겼으면 재력과 명성이 있어야한다고 영화에서는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