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렉산드리아 사중주 : 발타자르 ㅣ 펭귄클래식 66
로렌스 더럴 지음, 권도희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9년 12월
평점 :
4월 독서가 전무한 상태인데 이제 정신을 차리니 좀 살 것 같다. 한 달간은 조금 여유롭게 지낼 수 있을 거 같다. 더불어 독서의지도 불타오른다(?).
1권 <저스틴>에 실망해서 밀쳐뒀던 책인데 그래도 절반은 읽어야하지 않나, 하는 의무감에서 읽기 시작했는데 2권은 1권 보다는 훨-씬 좋다. 그래서 3,4권도 오늘 오전에 주문했는데 집에 와 보니 도착했다. 간만에 알라딘 당일 배송이다.ㅋ
1권에서 비춰진 저스틴은 휴지조각처럼 가볍고 버려도 되는 인물이었다. 2권에서 저스틴이란 인물에 대한 작가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금사빠'이면서 섹스를 즐기는 저스틴은 아랍권 문화에서는 잔다르크이다. 섹스로 나라를 구할 수는 없겠지만 저스틴은 섹스만이 그 사람을 이해할 수 있는 근원적 수단이라고 여긴다. 아쉬운 점은 저스틴의 심리가 화자, 즉 작가의 관점에서만 서술된다는 것이다. 저스틴이 어떤 생각을 했는지 독자는 화자한테 기댈 수 밖에 없는데 화자는 굉장히 가부장적이다. 작가 혹은 화자는 육체적 사랑의 존엄함을 믿고 정신 영역을 일종의 허상으로 치부한다. 서양문화권에서 젠체하거나 계몽적인 사상에 염증을 느낀 건 이해할 수 있지만 육체만이 해결책인 것처럼 서술하는 건 동의하지 못하겠다.
이건 작가의 이력과도 관련이 있을 거 같다. 그는 어쩌면 철저한 문명인으로 살았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저스틴은 그의 유토피아다. 주변의 시선을 개의치않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했는지도 모르겠다. 혹은 로렌스 더럴은 주변의 시선을 몹시 의식하며 평생을 보냈거나.
사중주란 제목처럼 이 소설의 윤곽은 빌어먹을 사랑이다. 그것도 엇갈린 운명의 사랑. 네심의 언청이 동생인 나로우즈가 바치는 클레어에 대한 사랑, 네심이 저스틴에게 바치는 사랑, 둘 다 이해 안 된다. 물론 사랑이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지만 클레어의 말대로 클레어가 어떤 여지를 만든 것도 아닌데 나로우즈는 왜 클레어를 사랑하는 걸까. 나는 이런 맹목적 또는 운명적 사랑을 믿지 않는 편이다.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믿는 편이다. 단 한 번의 스침으로 강렬한 해바라기를 하는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기에는 역부족이고 쓸데없는 정보를 너무 많이 주워들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나로우즈와 네심이 겪은 사랑을 동경한다. 그래서 3, 4권을 읽을 준비를 하는지 모르겠다. 소설이나 드라마가 허구라는 걸 알면서도 허구 속에서 잠깐이라도 살고픈 바람 때문에 소설이나 드라마가 번성하는 이유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