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리그 - Zelig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이름은 레너드 젤리그, 별명은 카멜레온, 특기 변신인 남자 이야기를 다큐 형식을 차용한 페이크다큐다. 의사와 있으면 의사, 흑인과 있으면 흑인, 비만인 사람과 있으면 비만인이 되는 인간 카멜레온이다. 젤리그는 사람들 속에서 눈에 안 띄는 평범한 사람이 되고 싶은 갈망이 컸다. 갈망이 크면 기적을 이뤄낸다. 상황에 맞춰 외모 뿐 아니라 화법도 바꿀 수 있게 되었고 그의 이상한 재주는 언론의 주목을 받는다. 젤리그의 일거수일투족이 신문에 매일 실리고 젤리그를 하늘 높이 올려놓았고 또 언론은 일련의 스캔들로 그를 추락시킨다. 사람들은 젤리그를 잊어가고 플레쳐 박사만이 그에 대한 관심을 불태운다. 플레쳐 박사는 그의 이상 행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고 이상행동을 치료해 명성을 얻으려는 개인적 야심을 갖고 있다.  야심은 사랑으로 바뀌고 그 후에는 눈물어린 노력이 펼쳐진다.

2.  

젤리그가 살았던 시기는 1930년대. 대공황 직후로 멜팅팟을 강요하던 시기였고 대중문화가 막 꽃 피울 준비를 했던 때다. 젤리그의 이상행동은 개인이 인격을 가진 고유한 개체라는 정체성을 갖는 게 악덕인 시기를 살아야했기 때문이다. 젤리그는 마음의 평정은 주변환경과 동화될 때만 생겼다. 20세기 중반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지만 한 세기 가까이 지난 지금, 21세기 초에도 젤리그의 복제 인간은 여전히 존재한다.  

미디어는 더 발달했고 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한다. 미디어는 사람을 상품화하는 데 앞장선다. 골드미스, 품절남, 품절녀..등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는 용어는 물건을 사고 파는데 사용하는 용어와 동일하다. 우리는 '재고', '불량'이 안 되려고 미디어가 이끄는대로 끌려가 발버둥친다. 최강 동안, 몸짱...이라는 말과의 거리감을 불안해하고 불안을 해결해 줄 수 있다는 현대기술을 위해 지출을 한다. 엣지있으려면 상품 용어들과 익숙해져야하고 다 같이 엣지있으려다 보니 다 똑같아진다. 우리는 가능하다면, 아마 젤리그의 신비한 재주를 기꺼이 훔쳐오려고 할 것이다. 20세기에는 젤리그가 소수였다면 21세기에는 다수가 돼버렸다. 집단 행동은 더 이상 이상 행동으로 간주되지 않는데 비극이 있다.

3.  

우디 앨런은 로맨티시트시다. 격변하는 사회 상황 속에서 적응하려고 몸부림치는 남자를 구원하는 건 한 여자의 사랑이다. 사랑이 그의 이상행동을 바꿨고 주체성을 찾아 행복하게 오래 살았다. 우디, 정말 사랑이 그렇게 사람을 바꿀 수다고 아직도 믿나요? 21세기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부족한 게 사랑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