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우치 - Jeon Woochi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난 무협지라면 질색을 하는 편이다. 열 살무렵(혹은 열 서너살) 무협지를 딱 한 번 보고 다시는 무협지를 책으로 분류하지 않고 쓰레기로 분류했다.(난, 어렸을 때도 건조한 인간이었던 거 같다) 장풍을 쏘아대고 축지법으로 한 걸음에 수만 킬로미터를 가는 일이 신기한 판타지가 아니라 황당무계했다. 전우치를 보면서 어린 시절 딱 한 번 봤던 무협지의 아우라가 연상됐다.
오백 살도 넘은 인물들은 시공간을 마음대로 넘나들어 산수화 속에도 들어갔다 나오고 광고판, 텔레비전, 벽, 어디든 공간이동이 가능하다. 그들이 21세기 서울의 빌딩 숲을 누비는데 묘한 쾌감이 있다. 이 쾌감의 실체를 들여다보니 고층건물 숲 속을 자유자재로 날아다는 장면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봐왔던 익숙함 속에 한국적 정서가 녹아있다. 무협이라는 한국적 정서가 이 영화를 애정을 갖고 볼 수 있는 힘이다.
뉴욕이나 엘에이에서 스파이더 맨이나 배트맨이 날아다니는 게 아니라 청계천, 광화문에서 조선시대 출신인 사람들이 장풍과 불을 쏘아댄다. 그들은 맞아서 쓰러지고 뼈가 부러져도 멀쩡하게 살아난다. 할리우드 영화가 첨단과학기술의 산물인 로보트나 인조인간을 내세운다면 <전우치>는 '도사'라는 오래 묵은 사람이다. '도사'의 전능함은 신을 능가한다. 한국식 사고는 신VS과학이 아니라 신의 변형체들이 있다. 요괴, 도사, 부적, 신선, 호리병, 그리고 윤회를 바탕으로 과부도 스타일리스트로 부활한다. 이런 요소들이 현대적 아이콘들과 조합하면서 묘한 액션을 만들어낸다.
최동훈 감독 영화의 특징을 한마디로 한다면 캐릭터 열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영화에서도 캐릭터 열전이 눈부시다. 인물 각자의 개인기가 빈약한 플롯을 지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