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인지 모르겠다. 텔레비전에서 김훈, 그를 보았다. 예상치 못한 프로그램이었다. 그는 한 여성 사진작가와 유럽 여행을 하고 있었다. 베를린이었던 거 같다. 거리를 돌아다니는 그는, 쭈뻣거리는 것처럼 보였다. 여성작가는 그와 대조적으로 베를린 거리에 아주 잘 어울렸고 흰머리의 그를 그녀는 보호자처럼 이끌었다. 벼룩시장같은 곳에서 그는 연필파는 노점을 발견하자 어색함이 사라지고 얼굴에는 굵게 주름잡힌 얼굴에 미소가 살며시 피어났다. 그리고 또 다른 날인가, 아님 같은 날인가..모르겠지만 유럽의 자전거 소개를 하면서 그의 표정은 자신의 문장처럼 강렬하게 살아났다. 오랜만에 그의 정갈한 문장을 읽으면서 쭈뼛거리던 그의 이미지가 떠올랐다. 많이 낯설고 조금 재미있었다. 글로는 모든 것을 알아버려서 체념한 것 같았던 그가 낯선 거리에서 어린 아이처럼 약간의 불안과 부적응을 보여준 게 아이러니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내가 김훈이란 작가한테 얻는 위안에 대해 생각해봤다. 그는 서사에 결코 능숙하지 않다. 소설이란 장르는 그에게 맞지 않는 장르일지도 모른다. 산문의 연장된 형태가 필요해 그는 소설이란 장르를 빌려쓰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니까 소설이라는 장르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그의 소설을 읽게 되지 않을 뿐더러 소설적 영역의 부실함에 대해 말하고 싶은 생각도 없어진다.  내가 그의 글에서 얻는 위안은, 내가 내 자신만의 언어로 말하기에는 부족하지만 충분히 감각으로는 껄끄럽게 느끼는, 그런 공감 때문에 그의 문장들에 신뢰를 보내고 있는 거 같다.

인간은 비루하고 던적스럽다고 압축할 수 있는 말을 324페이지에 걸쳐 펼쳐놓는다. 문장을 읽고 페이지를 넘기면서 입안에 모래가 가득 차 있는 것처럼 침을 삼키기 힘들다. 침을 삼켜도 찝찝해서 깨끗한 물로 입안을 헹구고싶었다. 현재성이 이 소설의 특징이다. 신문을 펼치고 텔레비전을 켜면 세상은 사건과 사고로 가득하고 내가 살아있는 게 신기할 정도다. 사건과 사고로 이루어진 미디어속 세상은, 실제이면서도 비실제같다. 현실을 살아가려면 현실을 타자화하는 게 필요한 요즘이다. 자고 일어나면 울부짖는 사람들이 쏟아지고 그들의 울음과 통곡에 잠시 생각하다 곧 잊어버린다. 울음과 통곡은 주체를 바꿔가면 순환하고 고통과 한의 깊이는 익숙해져서 무뎌진다. 미디어 속 세상과 내 현실과는 이제 아무런 관련도 없는 것처럼 살아간다. 문정수가 기사화하지 못한 일들을 노목희에게 쏟아내는 것처럼, 우리는 모두 노목희가 되어 냅둬라고 말한다.  

글을 쓰는 김훈과 카메라에 비친 김훈이 다르듯이 비루한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와 비루한 일상을 바라보는 우리는, 서로 다른 것럼 살아간다. 인정하고 싶지않지만 <공무도하>를 읽으면서 인정하고 싶지않은 사실을 마주할 수밖에 없어 불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