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물과 무생물 사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고 난 후 리뷰쓰기를 눌렀다 몇 번 지웠다. 쓰고 싶은 말이 머리속에서만 맴돌고 손에사 나오지 않는다. 이런 현상은 책이 너무 좋을 때거나 책이 별 가치가 없을 때인데 이 책은 너무 좋아서 무슨 말을 쓸지 고민하게 한다.
먼저 저자의 관점이 흥미롭다. 과학자, 특히 박사후과정postdoctor의 애환 속에서 생물에 대한 연구과정을 쉽게 풀어놓는다. 분자생물학자로서 갖는 질문, 생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서다.
결론부터 말하면, 생명이란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흐름이다." 가령 어떤 특정한 단백질이 결핍될 때 시간이 경과하면서 결핍 요소를 대체해서 평형을 이루는 시스템을 지닌 개체가 바로 생명이다. 이렇게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는데는 물론 저자의 노력을 쉽게 풀이해준 덕분이다. 여러 실험과정에서 생명을 이루는 세포에 열정적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들이 없다면 우리는 여전히 생체의 신비에 대해 원시적 태도를 취할 것이다. 모든 게 신의 뜻이라는. 과거에 불치병들이 치료제 개발로 더 이상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다는 우쭐함을 우리는 갖고 있다. 유전자를 둘러싼 비밀의 문에 한 발 내딛고 우리는 신의 영역에 들어가려고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생체 신비에 대해 아주 조그만 귀퉁이에 들어있는 정보를 획득했을 뿐이고 여전히 생체는 신비하며 신의 영역이라고, 저자는 결론을 맺는다. 생체는 미세한 부분들, 그 단독 쓰임을 알 수 없는 세포들 간에 만들어내는 유기적 관계는 여전히 미지의 영역라고 한다. 철학처럼 정신세계를 다루는 학문만 실체가 없는 게 아니라 생물이라는 볼 수 있는 대상을 다루는 학문도 실체가 없다는 게 새삼 신기하다. 더불어 이런 재밌는 과학에세이를 일찍 접할 수 있었더라면 내 삶도 조금쯤 달라졌을까? 앞으로 적극적으로 접한다면 삶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