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금시대 - Show me the mone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돈'을 주제로 열 편의 단편 모음인데 대체로 유쾌하다. 그 중 인상적인 작품만.
<시트콤>은 <은하해방전선>을 만든 감독작인데 봐야겠다. 연극적 공간과 인물로 유머를 만들어낸다. 오늘은 먹고 죽자는 말을, 우리는 가끔 사용하지만 실천을 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정말 먹고 죽으려하는 청년들이다. 나이트 클럽에서 술 값 없이 진탕 놀아보고 세상을 하직하려하는데 일이 뭐 뜻대로 안 된다. 계획과 예상을 뒤엎고 벌어지는 에피소드인데 지하세계의 속물들을 비웃는 거 같다.
<신자유청년>-임원희가 등장하는 데 난 이 배우만 보면 웃음이 배실배실 난다. 로또 52주 연속당첨자 이야기다. 다큐기법을 차용해, 플래쉬백과 인터뷰로-진중권 씨도 나온다ㅎ-욕망의 기승전결을 잘 담고 있다. 독서실 총무로 데이트할 비용도 없던 사람이 연속 로또 당첨으로 다른 세계를 경험하면서 만났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진중권 씨는, 로또 열풍을 진단한다. 당첨자에 대한 부러움과 그게 '나'일 수도 있다는 착각이다.
<페니 러버>-나이들어가는 것을 추하다고 생각하는 연하 남친과 달리 하룻밤 함께 잔 고딩은 멋있으면 되지, 나이가 무슨 상관이냐고 한다. 이 말에 위로를 받았는지 그가 준 십원 짜리 동전은 지갑에서 늘 보여 그를 떠올린다. 십대란 사물과 현상에 대한 개념을 설정 전이고, 또 흘러가기 마련이다. 대학생이 된 그는, 또래의 여자친구를 사귀고 있다. 이제 개념없는 고딩이 아니라 고정관념을 쌓아갈 나이가 되고 여자는 십원 동전을 써버리고 피부에 콜라겐도 점점 빠져나갈 것이다. 슬프다. 조원선이 그녀이다.
<톱>-영화가 매력적인 이유를 보여주는 단편이다. 닫힌 공간에서 두 남녀가 일으킬 수 있는, 좀 공포스런 가능성을 무한히 선사한다. 머릿속 생각을 카메라로 담는 기술에 대한 감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