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남수북
한소공 지음, 김윤진 옮김 / 이레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귀농 스케치 쯤 되는 수필집이다. 엎드려서 읽다가 앉아서 펜을 찾아 들고 밑줄을 긋게하는 책이다. 진리가 가득담겨 있어서 장점이어서 한계효용을 급격히 떨어뜨리기도 한다. 결국 반만 읽었다는 얘기다. -.-;; 시골에서 바라 본 도시를 이렇게 적고 있다.
"도시의 생활이 매혹적으로 비쳐지는 까닭은 은자처럼 지낼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동료의 집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혹은 이웃의 대문 안에서 어떤 모습이 펼쳐지고 있는지 도시인은 알 길이 없다. 손님, 승객, 행인, 판매원, 송수관 수리공, 우체부, 보험 모집인 등등 도시는 매일 사람들로 붐비지만 너무 밀집되어 있다 보니 도시인들의 관심 밖이거나 한 번 보고 그만 잊어버리는 대상이다. 이들은 그림자의 움직일 뿐이고, 이리저리 옮겨 다니는 배경이나 세트 그리고 가면처럼 이름도 가짜요, 하는 이야기는 대사요, 옷은 분장에 불과하다....우리의 진정한 동료와 이웃은 영화에 나오는 유명 배우나 신문의 지면을 장식하는 인물이거나 인터넷 채팅실에서 만난 익명의 인터넷 친구다....익명성에 대한 사랑!"
도시인은 기능인이다. 노동을 제공하는 생산자이면서 물건과 서비스를 다시 사는 소비자란 촘촘한 그물 속에 갇혀있다. 마음이 허할 때, 친구를 찾기 보다는 피엠피나 엠피쓰리 플레이어서 송출되는 영상과 음악 속으로 들어간다. 붐비는 지하철에서 승객은, 이어폰을 통해 철저히 그 공간에서 일탈해 자신이 인위적으로 만든 공간으로 침잠한다.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트위터, 그리고 트위터와 비슷한 네이버 서비스 미투데이를 보면서-난 사용자는 아니고 사용자의 후기를 읽었다. 시사인 기자인가가 쓴-씁쓸하다. 주로 컴을 이용하는 업무를 가지고 있는 직딩들, 혹은 아무래도 인터넷 접속이 자유로운 사람들이 주사용자일텐데 한줄의 마력을 주장한다. 난 여기서 소통에 대한 갈증을 엿본다. 진짜 소통의 갈증이 해소되는 지 알 수 없지만 난 회의적이다. 한 줄 생각에 대한 댓글 놀이가 그 매력인가 본데 같은 업무 공간에 있는 사람들과 소통 단절을 에둘러 말하는 것 같다. 잠깐 짬나는 시간에 유저들은, 익명의 누군가에게 나 좀 봐달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진짜 사람과 소통해야 할 시간에 모니터 뒤에 모르는 이와 나누는 댓글 놀이가 더 소통 친화적이라는 착각은, 깊은 소통의 부재를 암시한다, 고 생각지는 않는지... 도시인으로 살아가는 건 외로움을 달래는 방법을 찾아내는 일이다. 트위터도 블로그도 지름신교도 다 외로움을 잊기 위해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