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번역가의 서재 - 김석희, 내가 만난 99편의 책 이야기 ㅣ 이상의 도서관 15
김석희 지음 / 한길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김석희란 이름이 머리 속에 입력된 건 존 파울즈의 <프랑스 중위의 여자>를 읽고 나서였다. 번역 작업이란 게 잘하면 본전, 못하면 욕 먹는 일밖에 없는 고된 일이라는 걸, 다는 몰라도 조금쯤 안다. 포스트모던 소설이 매끄럽게 번역된 걸 보고 다시 한 번 이름을 확인했더니 김석희였다. 앞으로 이 분의 책은 가능하면 보리라, 혼자 다짐했던 와중에 나온 책이다.
날도 덥고 일도 고되고, 그러니 일한만큼 더 열심히 놀아자는 보상심리로 머리 아픈 책은 밀어 놓은 지 이미 오래다. 김석희 씨는 어떤 책들을 소개할지..궁금하고 내 독서목록에 추가할 게 있지 않을까해서 주문했다. 번역했던 책들 후기를 모았다고 하는데 볼 일 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화장실에 있는 시간이 긴 사람은 화장실에 비치해두고 두고두고 한꼭지씩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책을 안 읽고도 아는 척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 읽은 책에 대한 요약문으로도 써 먹을 수 있을 것 같다. 난 불행히도 화장실 체제 시간이 짧아 다른 용도를 생각중이다.
논문 심사 때, 지도교수님이 내게 이런 말을 했다. "너 이 주제가 정말 좋으니?" 난 이 질문의 의미를 당시에는 알지 못했다. 이 말을 알아듣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 늦었지만 이제는 안다고, 믿고 싶다. 아는 것과 애정을 쏟는 것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김석희 씨의 글을 읽으면서 문득 지도교수님의 말이 떠오른 건, 책 한 권 한 권에서 느껴지는 그의 애정 때문이다. 아, 이 분은 번역가 이전에 책 자체를 사랑하고 저자를 사랑하는 사람이구나. 번역가 이전에 책을 일반 독자보다 더 먼저 만난 독자로 애정을 듬뿍 담아 책 이야기를 하니 귀에 쏙쏙 들어올 수 밖에 없다. 옥수수 알을 조금씩 떼어 먹듯이, 그렇게 읽을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