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시부터 7시까지의 끌레오 [태원 아트무비 할인전]
AltoDVD (알토미디어)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영화는 화요일 오후 5시에 타로 카드점집에서 시작한다. 카드 패를 섞고 뽑는 손이 보일뿐 화면의 주인은 카드다. 그리고는 카드 점괘를 읽어주는 목소리가 들린다. 점괘가 맞는지는 알 수 없다. 원래 점의 정확성은 듣는 사람의 주관적 해석에 달려있으니까. 끌레오가 점집을 나오자 타로 카드를 읽어주는 여자는 놀라서 같이 있는 사람에게 말한다. 저 여자는 저주받아서 암으로 죽을 거라고. 끌레오가 왜 두 시간 동안 불안해 하는 지 알려주는 말이다.  

사람이 불안할 때 무언가에 의지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신이 있고 점쟁이들이 있다. 신과 점쟁이의 공통점은 그들이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다고, 우리 스스로 그들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그들이 한 말에 귀를 기울이고 그 속뜻을 내 상황에 끼워 맞추는 일을 기꺼이 하면서 불안을 다독이고 위안을 받는다.  

끌레오는 타로 점에 기대지만 여전히 불안하다. 그리고는 외출을 한다. 화요일에 새 모자를 쓰면 불운하다는 엥젤의 말을 외출 전에 따랐지만 외출 할 때 그녀는 통념적 불행과 맞서기로 한다. 새 모자를 쓰고 한 시간 반 가량의 외출을 한다. 찬사대로 카메라는 종횡무진으로 움직인다. 어떤 때는 끌레오의 눈 높이고 또 어떤 때는 지나가는 행인의 눈 높이로 또 어떤 때는 신처럼 모든 것을 알고 있는 눈 높이로 60년대 파리 풍물을 담아낸다.  

주로 택시를 타고 다녔기에 늘 같은 것만 보았던 끌레오에게 몽수리 공원 산책은 일탈이다. 자신을 잘 아는 사람들은 편안하지만 때로는 공감의 한계가 있다. 인물의 특징을 단정하기 때문에 오히려 미묘한 감정의 흔들림을 무시할 수도 있다.(작곡가와 작사가가 끌레오가 좋아할 거라고 친 장난처럼) 낯선 사람에게 때로는 무거운 마음의 짐을 가볍게 이야기 할 수 있다. 신과 점쟁이는 우리를 잘 모르는 데도 우리는 자신의 고민을 술술 얘기하지 않는가!  

끌레오 역시 레바논에서 휴가 나온 군인에게 자신의 불안을 털어놓는다. 택시가 아니라 전차를 탄다. 불안을 치유하는 방법은 자신이 잘 알고 있다. 불안의 원인을 잘 아는 사람은 바로 자기 자신이니까. 진술이라는 발화 행위를 통해 수행이라는 또 다른 발화로 단계로 이행하는 게 치유과정인데 이야기 하면서 이 치유 과정을 겪을 수 있다. 7시에 끌레오는 의사를 만난다. 그녀는 이제 더 이상 두렵지 않다고 말하면서 결연한 표정을 짓는다. 화요일에 새 모자를 쓰면 불행해진다는 근거없는 불안에 맞설 준비를 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