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그것이 미술사일까? - 서양미술사 400년의 편견과 오류
제임스 엘킨스 지음, 정지인 옮김 / 아트북스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제임스 엘킨스의 <그림과 눈물>을 아주 흥미롭게 읽고 주문했다. 난 별 세 개를 왠만하면 주지 않는데 별 세 개로 낙점했다. 책이 형편없거나 한 게 전혀 아니라 내 독서 목적과는 너무 거리가 멀어서다.  

책의 주제가 미술 또는 미술사에 관심있는 일반 독자를 위한 게 아니다. 미술에 관심있는 일반 독자가 읽지 말란 법은 없지만 서술 방식이 불친절하다. 책 전반에 걸쳐 전달하려는 저자의 의도는 충분히 이해되지만 미술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접근방법일 수 있으므로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   

지상의 모든 미술사가 서양, 특히 유럽중심주의라는 걸 서술하기 위해 여러 (아마도) 저명한 미술사가들이 취한 관점을 간략하게 분석해서 나열한다. 참 재미없게 읽은 부분이다. 미술사를 공부했거나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엘킨스가 이 책 속에서 던진 여러 가지 질문들이 예사롭지 않게 다가올 수도 있다.  

물론 나 역시 느낀 바가 많기도 했다. 내가 그림을 좋아하는 게 유럽 회화에 한정돼 있으며 동양화에 문외한일 뿐 아니라 관심도 희미한 이유는, 엘킨스의 지적대로 글이라는 도구의 힘 때문일 수 있다. 많은 자료들이 서양화에 집중되어 있고 내가 접근할 수 있는 자료의 범위를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그럼 이런 의문이 생긴다. 한국인 미술사가들 중 한국미술 내지는 동양미술사가를 떠올리기 힘다. 내 관심 부족이 첫번째 이유겠지만 또 하나는 오주석 씨만큼 알찬 글을 쓴 사람이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싶다.  

언어의 권력은 이미지를 포함한 문화 전반을 다르게 보도록 이끌 수 있다. 서양미술보다 한국미술이 더 접근하기 어렵게 여겨진다. 이는 한국 미술사가들 탓도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