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상은 책상이다
페터 빅셀 지음, 이용숙 옮김 / 예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네이버에서 소개한 신경숙의 서재에 있는 책들 중 몇 권을 질렀다. 그 중 한 권인데 아흑, 웃기면서도 슬프다.
일반적이지 않은 사람을 보고 우리는 독특하다, 다른 별에서 온 것 같다는 등의 말을 사용한다. 뒤집어보면 일반적이란 게 무언가. 일종의 사회적 기호다. 나무를 나무로 부르기로 하고 침대를 침대로 부르기로 하는 그런 약속에 의문을 품지않으며 복종하는 댓가로 친구와 동지를 얻는다. 이런 약속이 언제,왜, 누가 만들었는지 궁금해하기 시작하는 순간 친구나 동지 그룹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도록 프로그래밍 돼있다. 누가 프로그래밍하는가. 바로 집단이다. 집단에서 벗어나면 우리는 살 수 없는가. 어쩌면...이라고 페터 빅셀이 말한다. 그러나 또 다른 세계가 있을 수도 있다는 걸 암시한다. 사회적 기호 속에서는 사라졌지만 다른 기호체계를 받아들이는 그런 세상이 있을 수도 있다고.
짧고 간결한 단편 속의 주인공들은 모두 공통점이 있다. 집단의 기호든, 자신만의 기호든 어쨌든 기호란 세계에 갇혀 행동하지 않는다. 자신이 알고 있는 세계 밖에 대한 호기심으로 앉아서 계획을 세우고, 기차 시간표를 외우고, 다른 언어 체계를 만든다. 호기심은 참여가 결핍됐을 때, 단절이라는 결과를 낳지만 참여가 동반될 때 전혀 다른 곳에 가있다. 비록 이전의 집단에 속한 사람들에게는 기이하고 낯선 세계지만. 또 다른 세계에서 우리가 책상을 책상이라고 부르는 세계가 답답하고 우스운 세계일 수 있다.
익숙한 세계의 문을 걷어차고 밖으로 나오려고 애쓰는 순간 엄청난 고통이 따라오지만 익숙한 것과의 단절로 새로운 것에 대한 즐거움 역시 찾아온다. 노력하는 한 방황하고(괴테), 자신의 궤도를 벗어나는 지점에 타인과의 교차점이 있다(에릭 로메르)는 말은, 삶의 진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