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식사 - 위화 산문집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휴머니스트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허삼관을 만들어낸 위화의 산문집이라니..가슴이 두근두근했다. 위화의 글에서는 사람의 온기가 느껴진다. 그가 만들어 낸 문장들은 화려한 수식어구나 미사여구 없다. 문장들이 술술 풀어내는 쉬운 말투로 가만히 마음에 들어와 한참을 머문다. 그가 쓴 책장을 넘기는 건, 세찬 바람이 부는 밖에서 오들오들 떨다가 따뜻한 아랫목에 들어가는 것 같다. 나는 중국 본토에 대한 원시적 열정 내지는 맹목적 열정을 가지고 있다. 이 왜곡된 열정의 근원은 영화지만 위화 소설의 서사는 내 이런 열정에 답해주는 것 같은 착각이 들게 만든다.

이  산문집의 구성은 실망스럽지만 위화의 글은 최고다. 1장은 아버지와 아들인데 현재 아들의 이야기로 시작해서 자신의 유년시절을 더듬는 내용이고 2장은 삶과 문학에 대한 작가로서의 자세 내지는 고통을 말한다. 3부는 각 나라에서 출판된 위화 소설의 서문을 모았다. (급조한 냄새가)

정시 출근이 싫고 빈둥거릴 수 있는 직업이 갖고 싶어 글을 열.심.히. 쓰다 작가가 됐다고 밝힌다. 물론 소설가란 빈둥거리는 직업이 아니라는 걸 글을 쓰기 전에 과거가 멈추었다고 말하는 데 고스란히 들어있다. 소설을 여러 권 내고 가치관도 바뀌면서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을 짓기 시작했다고 한다. 장편 속 인물들은 작가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살아 움직인다니..그는 일정 정도의 경지에 올라있다. 작법 시간에 인물은 행동을 하게 해야한다고 여러 번 들었다.  그 말이 대체 무슨 말인지 체득하려면 써야할 것이다. 고비고비를 넘을 때마다 생각은 바뀌기도 하고 단단해지기도 하니 일단 엉덩이가 의자를 사랑하게 해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