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푸코에게 역사의 문법을 배우다 - 한 젊은 역사가의 사색 노트
이영남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푸코..하면 떠오른건 사차원에서 떠도는 도형들이다. 그만큼 접근하기 쉽지 않다는 말이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두께도 두꺼운데다 몇 페이지 읽다보면, 전공자도 아닌 내가 읽어야할 당위성을 좀처럼 찾기 어렵고 금방 책을 손에서 내려놓게 된다. 처음 이 책을 주문할 때도 망설였다. 읽고나니 최근에 가장 몰두해서 읽은 책이 되었다.
푸코의 개념을 풀이하려고 애쓴 게 아니라 오히려 고마웠다. 누군가의 사상을 풀이하려는 종류의 책에서 내가 어김없이 발견하고 부러워하는 게 있다. 바로 대상에 대한 열정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저자가 지닌 푸코에 대해 지닌 애정이 행간 곳곳에 배여있다. 이렇게 깊은 애정으로 서술한 책을 좋아하지 않기란 힘들다.
푸코의 일대기부터 이야기하듯 들려주면서 자연스럽게 푸코의 관심사로 화제를 끌고간다. 이런 글이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을 헤매었을까, 가늠해보면 그 어려움이 부제에 고스란이 드러나있다. 한 젊은 역사가의 사색노트. 푸코라는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 역사인식 방법을 알려준다. 전문 역사가로서가 아니라 일상을 살아가는 개인이 자신의 역사를 쓰는 방법과 그 필요성. 거시사가 아니라 미시사의 일부를 차지하는 각 개체의 중요성을 말이다. 우리나라에 절대적으로 결핍되었었고, 지금도 없는 걸 중요하다고 말하는 사람의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기분좋다.
푸코가 다루었던 역사적 관점을 설명하는 데 당연히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타자의 역사, 침묵의 역사, 소수의 역사로서 푸코의 저작들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한국 역사에 응용하려고 한다. 90년대 후반에 일어나기 시작한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이 역사가의 글 속에도 담겨있다. 현재와 맞닿아 있는 끈으로 과거를 바라볼 것을 권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저자가 갖는 푸코의 애정에 반해서 나도 푸코를 읽고 싶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