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오월인걸 오늘 알았다. 평소에는 내 일상에 몰두하고 가끔씩 세상 읽어주는 책을 읽으면서 자족감을 얻기도하면서 한 해의 삼분의 일을 보냈다. 이 책이 사고를 넓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 분명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무력감을 강하게 느낄 수밖에 없다. 현상을 인식하는 데서 사고가 출발하지만 행동보다 사고는 하위 단계라고 난 믿고 있기 때문이다.
부자나라들의 행태를 미디어를 통해 보는 것은 영화를 보는 것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비관적 생각이지만 신자유주의에 뇌세포를 점령당한 사람들이 주변에 널리고 나 또한 내 뇌세포를 기꺼이 내주고 있다. 가끔씩 이런 알찬 시각들로 뇌세포를 닦아보려고 하지만 잠시일 뿐 곧 원위치로 돌아갈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류의 책은 반드시 존재해야하고 여러 사람이 읽어야한다고 생각한다. 변화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고정관념을 깰 수 있는 계기에 자꾸 부딪치면서 서서히 이루어지는 게 변화다.
요즘 신문이나 TV뉴스는 전시를 방불케 할 정도로 끔찍하고 시끄러운 일들로 가득차 있다. 목소리 높여 외치는 사람은 많지만 소신있는 사람을 찾는 건 힘들다. 소신이란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지닐 때만 드러난다. 신자유주의를 옹호하는 부유한 나라들이 선전하는 슬로건을 뒤집어볼 수 있는 힘을 가진 사람이 많은 나라는 미래가 밝을 것이다.
이 책의 미덕은, 무엇보다도 우리가 부자나라들의 슬로건에 길들여졌다는 걸 발견하도록 해 준데 있다. 정말 많은 사람이 읽었으면 좋겠고, 특히 집권층이 읽었으면 좋겠다.
*저작권/경제와 문화/경제의 상관관계는 무척 흥미롭다. 이 분의 시선은 기본적으로 비판적이지만 바탕에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관점을 취하고 있어서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생각거리를 던져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