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변풍경 - 박태원 장편소설 ㅣ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10
박태원 지음, 장수익 엮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1월
평점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로 유명한 작가의 작품이다. 물론 난 소설가 구보씨를 읽지 않았다. 그러나 구보씨를 알고있고 천변풍경을 집어들었다. 해제에 실린 평론을 보니 모더니즘과 사실주의의의 중간 지점으로 평가를 받는 것 같다. 아무렴 어떤가. 모더니즘. 사실주의란 말은 이제 신물난다. (사실 아무 것도 모르면서!)
서구의 모더니즘 보다 약 1세기 가량 뒤늦은 게 아닌가, 혹은 한국 사회에서 진정 모더니즘이 존재하던가, 하는 회의주의적 관점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오히려 18세기 서구에서 피어났던 계몽주의 관점과 더 닮아 있는 것도 같다. 모더니즘이 적어도 부루주아지에 대한 혐오를 비추었다면 천변풍경에서는 비판은 물론이고 혐오는 더더욱 읽을 수 없다. 현실을 묘사하는 것으로 사실주의와 맞닿아 있다고도 할 수 있지만 석연치 않다.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전지적 작가 시점은 사실주의에서는 낯선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모더니즘 내지는 근대는 한국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근대, 그러니까 고종 이후의 한국 사회에 대해 난 서구에 대해 갖는 일종의 동경+호기심이 왕성하다. 모친의 말을 빌리면, 이 시대의 구질구질한 삶을 호기심으로, 다른 말로 바꾸면 타자의 시선으로 보는 데 익숙하다. 이 소설 역시 아주 재밌게 읽었다. 고어체가 어렵기도 했지만 행간에 배인 유머와 단편 같은 서사구조는 대단히 흥미롭다. 물론 장편이란 틀거리로 재단을 한다면 그닥 매력일 수 없지만 한편으로는 툭툭 끊기는 이야기 구조는 익히 보아온 서사 중심의 소설과는 거리가 멀다.
박태원이란 작가의 이력 역시 평범하지 않고(월북 작가다! 월북에 방점을 찍은 건 아니지만, 이데올로기를 읽는 건 불가능하다) 무엇보다도 이 시기의 미시사적 관점에서 이 소설을 연구하는 일은 아직 없는 것도 사실인 것 같다. 남녀의 위치가 어떠했는지, 또는 가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운영되었는지, 참 적나라하게 말해주는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