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버거의 글로 쓴 사진
존 버거 지음, 김우룡 옮김 / 열화당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달 주문한 책들은 리뷰를 쓰기 위해서 곰곰이 생각을 해야하는 책들이다. 박노자의 <만감일기>와 존 버거 책은 에세이로 특히 더 그렇다. 그래도 3월 첫 리뷰를 존 버거의 책으로 채워보면,

원제가 표지에 쓰여 있듯이 <Photocopies>이다. 글로 쓴 사진이란 우리말 제목 그대로다. A4 1장 남짓한 분량으로 존 버거의 기억 속 풍경을 선명하게 들여다 볼 수 있다. 인상적 꼭지는 세 부분이다. 여든 여섯의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과의 만남을 회상하는 글. 군복무를 하고서 처음 라이카를 사서 평생 그 카메라를 고집했던 그가 사진에 대해 한 말. "사진은 끝없는 응시로부터 나오는 무의식적 영감이다. 사진은 순간과 영원을 붙든다." 모든 예술의 기본적 자세는 끝없는 응시렸다.

다음은 전구를 그리는 무명 화가 나나 로스티아 이야기. 80년대 생 미셸 대로에서 크레프를 팔면서 그림을 그리는 화가. 그의 그림에 대한 분위기 묘사에서 고흐의 초반 스케치들이 떠오른다. 거칠고 뭉툭하지만 따뜻한 느낌.. 그의 그림이 액자에 담겨 사람들의 사랑을 받을 가치가 충분히 있지만 평단에서 영향력이 있다는 세간의 평가에도 불구하고 그의 그림을 팔도록 도와줄 방법을 모른다. 그의 그림이 팔리는 걸 도와주지 못하는 무기력에 좌절하는 마음도 이쁘고 그런 것에 사심이 없는 로스티아도 이쁘다. 전구 그림을 보면 이제 존 버거의 이 글이 떠오를지도 모르겠다.

마지막은 식사 장면 묘사이다. 둘 다 호화로운 식사였는데 하나는 겉도는 식사. 이런 밥을 먹는 일이 자주 있는 건 아니지만 그 기분이 어떤지 알기에 그의 문장 하나씩 다시 읽었다. "겉으로는 살아서 맛보고 삼키며, 입을 닦고, 말짱한 정신으로 웃고 즐기며, 뭔가를 기억해내려하며 얘기하고 있었지만, 한편으로 우리는 또한 황폐해져 사공(웨이터)의 손에 맡겨져 있었다." 나머지 하나는 세상에 정말 한 번 있을까 말까한 감동적인 식사였다.

존 버거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사진들이야 말로 끊임없는 응시가 무엇인지 모범을 제시한다. 오늘 사무실에 오는 길에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사소한 일이지만 감정이 썩 좋지않았던 터라 불쾌하다고 직설적(내 주특기기는 하지만)으로 그리고 비교적 장황하게 말했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갖기 위해 나는 인내심부터 길러야한다. 말해놓고 후회스럽다. 꼭 그렇게까지 깐깐하지 않아도 될 것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